검색 상세

실시간 온라인 성인학습자의 인지된 학업성취도와 교수자 지지 간의 관계: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 실재감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기관에 속하는 지역에 있는 평생학습기관, 학점은행제 평생교육원,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 성인학습자의 인지된 학업성취도, 교수자 지지, 자기주도학습능력,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간의 관계를 구명하고, 교수자 지지와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와 인지적 실재감의 매개효과와 감성적 실재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구명하고, 교수자 지지와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인지적 실재감의 이중매개효과,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감성적 실재감의 이중매개효과,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사회적 실재감의 이중매개효과를 구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평생교육기관에 속하는 지역에 있는 평생학습기관, 학점은행제 평생교육원,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 성인학습자로 설정하였다. 자료배포 및 수집은 2021년 5월 10일 오후 2시부터 실시하여 5월 26일까지 온라인 설문지 링크를 배포하여 총 39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366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기관에 속하는 지역에 있는 평생학습기관, 학점은행제 평생교육원,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 성인학습자의 교수자 지지, 자기주도학습능력,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각각은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수자 지지는 자기주도학습능력,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각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각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기관에 속하는 지역에 있는 평생학습기관, 학점은행제 평생교육원,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교수자 지지와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실재감도 교수자 지지와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성적 실재감도 교수자 지지와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실재감은 교수자 지지와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기관에 속하는 지역에 있는 평생학습기관, 학점은행제 평생교육원,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인지적 실재감은 교수자 지지와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감성적 실재감도 교수자 지지와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사회적 실재감은 교수자 지지와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의 이중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기관에 속하는 지역에 있는 평생학습기관, 학점은행제 평생교육원,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 성인학습자의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자 변인인 교수자 지지와 학습자 변인인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 상황 변인인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상호 긴밀한 영향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 지지와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낸 자기주도학습능력,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과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낸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인지적 실재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감성적 실재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more

목차

Ⅰ.서론 1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연구문제 7
3.용어의 정의 8
Ⅱ.이론적 배경 11
1.인지된 학업성취도 11
2.교수자 지지 16
3.자기주도학습능력 21
4.실재감 28
5.인지적 실재감 33
6.감성적 실재감 37
7.사회적 실재감 42
8.인지된 학업성취도, 교수자 지지, 자기주도학습능력,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의 관계 48
Ⅲ.연구방법 72
1.연구모형 72
2.연구대상 73
3.조사 도구 74
4.자료 수집 95
5.자료 분석 100
Ⅳ.연구결과 102
1.변인의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분석 및 다중공선성 102
2.인지된 학업성취도, 교수자 지지, 자기주도학습능력,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간의 영향관계 106
3.자기주도학습능력,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효과 112
4.자기주도학습능력과 인지적 실재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감성적 실재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사회적 실재감의 이중매개효과 115
5.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122
Ⅴ.요약, 결론 및 제언 146
1.요약 146
2.결론 149
3.제언 154
참고문헌 15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