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병원간호사의 평생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 조직시민행동과 간호일터영성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Hospital Nurses’ Lifelong Learning Agilit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ed Citizenship Behavior and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초록/요약

국문초록 병원간호사의 평생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 조직시민행동과 간호일터영성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학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차 운 정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평생학습민첩성과 긍정심리자본, 조직시민행동이 간호일터영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간호사의 평생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 조직시민행동과 간호일터영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병원간호사의 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 조직시민행동이 간호일터영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병원간호사의 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병원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학습민첩성이 조직시민행동을 매개로 간호일터영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구조적 관계와 가설 검증을 위한 자료수집은 2021년 4월 19일부터 6월 5일까지 총 7주간 온라인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3차 병원인 A대학교병원 간호사와 2차 병원인 S병원, Y병원, A요양병원 간호사로서 접수된 설문은 총 417명으로, 중복 설문을 제외한 411명의 표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여 98.6%의 응답 채택율을 보였다. 본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로는 SPSS Windows 26.0과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하였고, 매개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간호사의 평생학습민첩성은 간호일터영성에 정(+)의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원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은 간호일터영성에 정(+)의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병원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은 간호일터영성에 정(+)의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병원간호사의 평생학습민첩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병원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은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병원간호사의 평생학습민첩성이 조직시민행동을 매개로 간호일터영성에 정(+)의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병원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시민행동을 매개로 간호일터영성에 정(+)의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실무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간호사 평생학습의 주제로 의사소통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간호사의 의사소통을 통한 자신감 회복은 환자에게 다가갈 수 있는 행동변화를 유도한다. 이러한 과정은 환자와 고객의 요구에 한층 더 경청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간호일터영성을 점진적으로 배가시킬 것이다. 둘째,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교육평가원 등 유관 교육기관에서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제언한다. 교육부 및 교육청,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교육평가원 등 유관 교육기관에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각 조직에서는 간호사에게 긍정심리자본인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 등의 요인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기회를 마련하여 주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하기를 제안한다. 셋째, 조직시민행동과 연계한 연수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향상에 기여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유휴간호사 역량개발’ 과 같은 프로그램을 확대, 개발하여 적용해 볼 만하다. 간호사에 특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신규간호사의 임용 및 간호사 생애 주기별 학습 프로그램 등에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넷째, 간호현장의 돌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강인성을 함양하는 학습을 제안한다. 간호일터에서 보다 잘 적응하고 근무하기 위해 간호대학의 학습커리큘럼에 인성교육 및 복원력을 증진시키는 학습이 필요하다. 그리고 병원과 연계하여 대인관계에서 초래되는 이직률을 감소시키고, 간호현장의 돌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강인성을 함양하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협업을 위한 간호사의 참여의식과 행동 변화를 이끌어 내는 교육을 제안한다. 조직시민행동과 일터영성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참여성을 더욱 향상시켜야 한다. 참여성이 결여된 의료조직은 최근 병원 업계의 숙제인 최상의 긍정적 환자경험이 불가능하다. 만약 자신이 환자경험을 위해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면 간호일터영성 고취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간호사가 즐겁게 배울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교육참여를 이끌어 내야 한다. 예를 들면, 인문학적 교양 프로그램(일반문학, 철학, 행복학), 문화예술향상프로그램, 시민참여 활동(평생학습 네트워크, 환경실천 교육), 기능적 소양프로그램(역할수행 교육, 예절교육, 정보인터넷 활용), 건강 심성 프로그램(식생활교육, 상담 치료) 등이 있다. 이러한 간호사의 평생학습은 병원에 대한 고객의 기대수준을 높이고, 병원 이미지 개선,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도를 높여 줄 것이다. 여섯째, 간호사에 대한 온보딩(on-boarding)과 리텐션(retention)의 활성화를 제언한다. 온보딩 대상자는 크게 신입 간호사와 경력간호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조직마다 진행하는 방식과 형태는 다양하다. 신규간호사의 병원적응을 돕기 위해 Nurse Residency Program, Transition Program, Nursing Graduate Guarantee Program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정부의 지원 하에 운영하고 있지만 Z세대의 특징을 반영하여 효과적인 교육방법론을 고민해야 한다. 이들의 특징은 조직을 위해 희생하기보다는 개인의 삶에 관심을 기울인다. 조직만을 강조하는 애사심 중심 교육의 학습효과는 떨어질 수 있으므로, 개인의 성장과 관련된 교육을 병행해야 한다. 다음으로 신규간호사의 리텐션(retention)을 높이는 전략의 일환으로 교육전담간호사의 확대 실시를 제안한다. 정부의 법적, 제도적 지원과 재정지원이 있다면 현장에서 교육 전담 인력배치 실현이 수월할 것이다. 간호교육 전담자가 매우 필요하지만 2차 병원이나 요양병원은 인력난, 지원 미비 등으로 제도를 운영하는 곳이 적은 편이다. 그러므로 2차 병원과 요양병원은 대한간호협회, 간호취업교육센터에서 표준화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평생학습민첩성을 배양하기 위한 병원문화의 형성을 제언한다. 평생학습민첩성은 간호사의 미래 역량을 측정하는 데 적합한 변수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평생학습민첩성의 하위요소 중 ‘행동변화’는 간호일터영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간호사의 행동변화 결과가 타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성인교육의 목적이기도 한 ‘행동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여 실질적으로 교육에 적용해야 한다. 따라서 간호사의 평생교육 차원에서 평생학습민첩성을 배양하기 위한 분위기 형성이 필요하다. 조직에서는 업무성과를 내는 간호 인재들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새로운 학습의 기회와 도전의식을 제공해야 한다. 창의적인 의견을 들어 주고 업무와 관련된 교육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행복한 조직 문화를 만들어가는 일에 더 많은 시간을 쏟아야 할 것이다. 주제어: 병원간호사, 평생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 조직시민행동, 간호일터영성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8
3.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1
1. 평생학습민첩성 11
2. 긍정심리자본 21
3. 조직시민행동 32
4. 간호일터영성 41
5. 각 변수 간의 관계 57
Ⅲ. 연구방법 69
1. 연구모형 및 가설 69
2. 연구대상 74
3. 연구도구 78
4. 자료수집 81
5. 자료분석 84
Ⅳ. 연구결과 90
1. 측정변수의 일반적 특성 90
2.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91
3.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95
4. 연구가설의 검증 120
5. 연구의 논의 134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141
1. 연구요약 141
2. 결론 144
3. 제언 147
참고문헌 15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