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 다차원적 공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공감을 6가지 차원(인지, 정서, 긍정, 부정, 다수, 소수)으로 정의하고, 각각의 차원을 측정하는 ‘청소년 다차원적 공감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공감의 6가지 차원을 반영하는 68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내용 타당도를 검증한 후, 56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이후 중‧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개의 하위요인(긍정 공감, 인지 공감, 소수 공감, 다수 공감, 정서 공감, 부정 공감)을 측정하는 26문항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연구 2에서는 중‧고등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도출된 하위요인을 재확인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먼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24문항, 6개의 요인구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인지 공감, 정서 공감과 Basic Empathy Scale(BES)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두 유의미하였고, 긍정 공감, 부정 공감과 Positive and Negative Empathy Scales(PaNES)의 상관관계 역시 유의미하였다. 또한 소수 공감, 다수 공감과 개인주의-집단주의(INDCOL)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수 공감과 수평적 집단주의, 수직적 집단주의와의 상관은 유의미하였으나, 소수 공감과 수평적 개인주의, 수직적 개인주의와의 상관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준거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사회적 관심 척도 중 행동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준거 타당도 역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증분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청소년 다차원적 공감 척도가 사회적 관심 중 행동 요인에 대해 BES, PaNES의 설명량 외에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6가지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744~.833로 나타났다.

more

초록/요약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study defines empathy as six dimensions (cognitive, emotional, positive, negative, majority, minority), and develops and validates 'the Adolescent Multidimensional Empathy Scale' that measures each dimension. To this end, Study 1 developed 68 preliminary questions that reflected six dimensions of empathy and selected 56 preliminary questions after verifying contents validity. After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3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26 questions were found to measure six sub-factors (positive empathy, cognitive empathy, minority empathy, majority empathy, emotional empathy, and negative empathy). Next, study 2 reaffirmed the sub-factors derived from study 1 for 35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verified their validity. First, a total of 24 questions, six-factor structures, were the best fit after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urthermore, to verify the convergent validity, we looked at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and Basic Empathy Scale (BES) and demonstr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empathy, negative empathy, and Positive Empathy Scales (PaNES) was also significant. Furthermore,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minority empathy, majority empathy,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INDCOL) scales,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ity empathy, horizontal collectiv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was significant.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horizontal individualism, vertical individualism, and minority empathy we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Adolescent Multidimensional Empathy Scal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behavior of the Social Interest Inventor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also confirmed. Furthermore, As a result of verifying incremental validity, the Adolescent Multidimensional Empathy Scales provide additional explanations for behaviors of the Social Interest, in addition to the explanations of BES and PaNES. Finally, the reliability of the six sub-factors was shown to be .744~833.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1. 공감 5
1) 인지 공감과 정서 공감 6
2) 긍정 공감과 부정 공감 7
3) 다수 공감과 소수 공감 8
2. 기존의 공감 척도 10
1) Hogan(1969)의 Empathy Scale 10
2) Mehrabian과 Epstein(1972)의 Emotional Empathic Tendency Scale(EETS) 11
3) Davis(1980)의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IRI) 12
4) Baron-Cohen과 Wheelwright(2004)의 Empathy Quotient(EQ) 13
5) Jolliffe와 Farrington(2006)의 Basic Empathy Scale(BES) 14
6) 기존 공감 척도의 한계점 15
Ⅲ. 연구 1: 청소년 다차원적 공감 척도 개발 17
1. 방법 17
1) 문항선정 17
2) 연구 참가자 18
3) 측정 도구 18
4) 분석방법 18
2. 결과 19
Ⅳ. 연구 2: 청소년 다차원적 공감 척도 타당화 23
1. 방법 23
1) 연구 참가자 23
2) 측정 도구 24
3) 분석방법 26
2. 결과 26
1) 확인적 요인분석 26
2) 수렴 타당도 30
3) 준거 타당도 30
4) 증분 타당도 31
5) 신뢰도 32
Ⅴ. 논의 33
■ 참고문헌 39
■ 부록 49
■ ABSTRACT 6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