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상황에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 학습 전략에 관한 연구

초록/요약

최근 covid-19로 인해 일상적인 등교수업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많은 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이 안전하게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실시하고 있다. 블렌디드 러닝은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대면수업을 병행하는 수업형태를 지칭하며, 혼합형 학습, 혼합식 수업 등으로도 불린다. 블렌디드 러닝의 특성상 학습자의 자발성과 적극적인 학습태도가 학업성취에 중요한 요인이며, 교육현장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활용은 필연적으로 영어 학습에서 학생들의 자기관리 역량, 특히 학습 동기와 학습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흐름을 가속화시켰다. 비대면수업과 대면수업을 번갈아 실시하는 수업인 블렌디드 러닝에서 학생들은 교사의 직접적인 통제나 개입이 없는 상황에 노출될 수 있고, 학습 과정에서 주어진 과제를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빈번하게 놓이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대면 위주의 수업에서보다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학습 전략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 동기, 학습 전략의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여 학생들을 지도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대면-비대면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서 영어 학습 동기와 학습 전략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원의 A고등학교 1학년 4개 학급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블랜디드 러닝 수업을 4주 동안 대면-비대면수업(실시간 쌍방향) 방식으로 격주로 실시하였다. 설문은 Pintrich, Smith, Garcia와 McKeachie(1991)이 개발한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중 39문항을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여 매주 마지막 수업이 끝난 후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의 하위 요인은 내적동기, 외적동기, 시연, 정교화, 조직화, 비판적사고, 자기통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은 SPSS 25 (Stas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95%로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면-비대면 블렌디드 러닝 수업이 학생들의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그 결과는 성별과 학업성취도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내적동기와 외적동기 모두 대면-비대면수업에서 평균의 차이는 있었지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학습 동기의 차이는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에서 모두 내적동기와 외적동기 모두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영어성적, 부모님의 칭찬에 더 관심이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 동기는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에서 모두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내적동기와 외적동기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학습 동기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대면-비대면 블렌디드 러닝 수업이 학생들의 전략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그 결과는 성별과 학업성취도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대면-비대면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서 시연, 정교화, 조직화, 비판적 사고, 자기통제 모든 전략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이는 학생들이 대면수업 보다 비대면수업에서 학습전략을 더 활발하게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한 공간에서 수업의 모든 내용을 교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설명하는 대면수업과 달리 심리적, 물리, 공간적으로 독립되어있는 비대면수업에서 학습자가 더 많은 자율성과 주도성을 가지고 학습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성별에 따른 학습전략의 차이는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에서 모두 시연, 조직화, 자기통제 전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습 동기가 높은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학습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학업성취도에 따라 대면수업에서는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모든 전략의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비대면수업에서는 시연, 정교화, 자기통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조직화와 비판적 사고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대면-비대면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대면수업에서 학습 동기를 제외했을 때, 자기통제 전략이 학업성취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수업에서도 자기통제 전략이 학업성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문제 4
제2장 이론적 배경 6
제1절 블렌디드 러닝 6
제2절 비대면수업을 위한 플랫폼과 수업 유형 8
제3절 학습 동기 9
제4절 학습전략 11
제5절 자기조절학습전략 15
제6절 학습 동기와 학습전략 선행연구 17
제7절 학습 동기,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선행 연구 17
제8절 블렌디드 러닝 선행연구 18
제3장 연구 방법 23
제1절 연구참여자 23
제2절 연구도구 24
제3절 연구절차 26
제4절 분석 방법 28
제4장 연구결과 29
제1절 대면–비대면 블렌디드 러닝 유형에 따른 학습 동기 29
제2절 대면–비대면 블렌디드 러닝에서 학습전략 차이 36
제3절 대면–비대면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45
제5장 결론 및 제언 51
제1절 결론 및 논의 51
제2절 제언 및 시사점 54
제3절 연구의 제한점 57
참고문헌 5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