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의 부모, 교사 및 친구지지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이들이 효과적으로 취업과 진로를 준비할 수 있도록 가정에서의 교육 및 학교에서의 취업 및 진로지도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 교사 및 친구지지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부모, 교사 및 친구지지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지역 특성화 고등학교 1,2,3학년 5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지를 SPSS 21.0 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와 취업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 교사 및 친구지지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지지와 친구지지는는 취업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교사지지는 취업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와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 때, 사회적지지의 간접효과 경로를 구체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를 동시에 단일한 모형에 투입하였다. 그 결과, 부모지지와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교사지지와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고, 친구지지와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애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성화고등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 학생 개인의 심리적 기제에 초점을 둘 경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진로 상담 및 교육이 수행될 필요성을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환경적인 변인인 사회적지지의 직접적인 영향에 근거하여 취업준비행동을 높이고자 한다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교사지지와 친구지지가 충분히 제공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 that is,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 perceived b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job preparation behavior, with the aim of preparing a reference material for career path counseling in schools and at home which will guide students in their career preparations.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prepared to reach this purpose.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Second, what is the direct effect of the support of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perceived b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job preparation behavior? Third, do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perceived b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a data collected by surveying 519 students in 1st, 2nd, and 3rd grade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Gyeonggi region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parents, teachers, friends perceived by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cial support of parents and friends perceived by the students have no direct effect on the career preparation of students, while teachers’ support has a positive direct impa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student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parents, teachers, friends perceived by the students and their job preparation behavior was analyzed. In order to compare the indirect effect path of different social supports in detail, we analyzed the parental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by simultaneously inputting them into a single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does not mediate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but partially mediate the teachers’ support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While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confirm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etween friends’ support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will boost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o enha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by focusing on student’s individual psychological mechanism. Furthermore, results also imply the necessity of teachers’s support more than the support of parents and friends in enhanc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through direct effe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social support. In short, teachers’ support is key factor, and friends’ support as well can be seen as a major factor in improving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refore, adequate support of teachers and friends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8
3.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0
1. 사회적지지 10
2. 취업준비행동 14
3.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18
4. 변인 간 관계 22
Ⅲ. 연구방법 29
1. 연구대상 29
2. 측정도구 30
3. 분석방법 33
Ⅳ. 연구결과 35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5
2. 측정모형 검증 38
3. 구조모형 검증 42
4. 매개효과 검증 44
Ⅴ. 논의 및 결론 46
1. 요약 및 논의 46
2. 결론 및 제언 50
참고문헌 53
연구 설문지 67
ABSTRACT 7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