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건강한 관계를 위한 마음챙김 자비명상 기반 프로그램 (MCHR) 개발 및 효과

The effects of the mindful compassion-based healthy relationships program (MCHR)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명상과 자비명상이 건강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최근의 이론적 제안과 연구결과를 토대로 건강한 관계를 위한 마음챙김 자비명상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해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세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382명의 응답을 가지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여 대인관계에 대한 마음챙김과 자비심의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그 영향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사회적 연결감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은 직접적으로 또는 정서조절과 사회적 연결감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음챙김이 직접적으로 대인관계를 향상시킬 수도 있지만 정서조절 능력을 증가시켜서, 또는 사회적 세계에 대한 연결감을 증가시켜 대인관계 향상에 기여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런가 하면, 자비심은 대인관계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 사회적 연결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비심이 사회적 관계에 대한 관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이론 모형을 토대로 체계적인 개발 절차에 의해 건강한 관계를 위한 마음챙김 자비명상 기반 프로그램(MCHR)을 개발하였다. MCHR은 8회기 프로그램으로 세 가지 구성요소, 즉 ‘자각과 현존’, ‘보살핌’, 그리고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요소들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마음챙김명상과 자비명상을 훈련 내용으로 한다. 또한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이 계획대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실시를 하고,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한 후 최종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연구 3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대학생 1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을 구성하여 실시하고, 15명의 무처치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음챙김과 세 가지 판의 자비심(친밀한 이, 잘 모르는 이, 싫은 이), 정서조절곤란, 사회적 연결감, 대인관계문제 척도가 사용되었고, 사전, 사후, 추수(4주 후), 세 번의 시점에 측정이 이루어졌다. 사전 동질성 분석 결과, 모든 측정치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값은 차이가 없었으며, 혼합설계에 따른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집단과 측정 시점의 상호작용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든 측정 변인에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MCHR 집단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마음챙김에서 MCHR 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이러한 집단 간 차이는 4주 추수 시점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자비심은 세 가지 판(친한 이와 잘 모르는 이, 싫은 이) 모두에서 사후 시점에 MCHR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잘 모르는 이와 싫은 이에 대한 자비심은 추수 시점까지 통제집단과의 차이가 여전히 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연결감과 정서조절곤란에서는 프로그램 후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두 변인 모두 MCHR 집단에서만 사후 시점에 큰 효과크기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추수 시점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문제에서도 두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MCHR 집단에서만 사후 시점에 대인관계문제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추수 시점까지 지속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은 측정 시점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MCHR은 마음챙김과 자비심을 배양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 연결감의 향상, 그리고 건강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recent theories and research suggest that mindful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he mindful compassion-based healthy relationships program, and tested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volving 382 undergraduate student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s of mindfulness and compass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mediating roles of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connectedness. Findings suggest that mindfulness affec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via its impacts on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connectedness. That is, mindfulness was shown to directly enha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it was also shown to increase emotion regulation capacity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connectedness to the social world, which improved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for compassion, the results support a full mediation by social connectedness, indicating that compassion alters a person’s perspective on the social world for the better, positively affec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tudy 2, the Mindful Compassion-based Healthy Relationships program (MCHR) was developed based on the theoretical model of Study 1. The MCHR is an eight-session program consisting of three modules: 'Awareness and Presence', 'Caring', and 'Communication', which are embodied by various forms of mindful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In addition,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whether the draft program could be worked as planned, and the final revised MCHR curriculum was presented. In Study 3,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MCHR, mindfulness, three versions of compassion (i.e. toward close others; strangers; disliker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ocial connected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assessed just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wo groups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compared, the MCHR group of 16 subjects and the no-treatment control group of 15 subjects. When testing the pre-homogeneit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emographic and dependent variables between groups. The mixed ANOVA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roups and times, implying significant changes in the MCHR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ll dependent variables. In detail, firstly, participants in the MCHR condi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mindfulnes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t the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and this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maintained at the four-week follow-up. Secondly, three types of compa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CHR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In the case of compassion toward a stranger and a disliker in particular, thes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remained strong at the four-week follow-up. Third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social connectedness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t the post-treatment assessment. However, both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only in the MCHR group to a large effect size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and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during four weeks. Finally, althoug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interpersonal problems was observed between two groups, the participants only in the MCH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at variable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and this decline was maintained at the one-month follow-up, whereas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over time. Taking all these togeth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CHR has strong effects on cultivating mindfulness and compassion, and it c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social connectedness, and promoting healthy relationships.

more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이론적 배경 5
1) 마음챙김과 마음챙김명상 5
가. 마음챙김의 정의 5
나. 마음챙김명상 6
2) 자비심과 자비명상 7
가. 자비심의 정의 7
나. 자비명상 9
3) 건강한 관계 12
가. 건강한 관계의 개념화 12
나. 건강한 관계를 위한 프로그램 선행 연구 14
4) 마음챙김과 마음챙김명상, 대인관계 16
5) 자비심과 자비명상, 대인관계 17
6) 마음챙김, 자비명상, 대인관계 관련 심리학적 변인 18
가. 정서조절 18
나. 사회적 연결감 21
3. 연구목적과 연구문제 25
II. 연구 1. 마음챙김, 자비심과 대인관계: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28
1. 방법 28
1) 대상 및 절차 28
2) 측정도구 28
3) 분석방법 30
2. 결과 30
1) 문항묶음 30
2) 기술 통계치와 측정변인들 간 상관 31
3) 측정모형 검증 33
4) 연구모형 검증 34
3. 논의 36
III. 연구 2. 건강한 관계를 위한 마음챙김 자비명상 기반 프로그램 개발 41
1. 프로그램 개발 과정 41
2. 프로그램의 구성 43
1) 프로그램의 목표와 구성요소 43
2) 활동요소 45
3) 프로그램 운영 절차 47
3. 예비연구 및 평가 47
1) 대상 및 절차 47
2) 결과 48
3)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 51
IV. 연구 3. 건강한 관계를 위한 마음챙김 자비명상 기반 프로그램 효과 55
1. 방법 55
1) 대상 및 절차 55
2) 측정도구 56
3) 분석방법 57
2. 결과 57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57
2) 건강한 관계를 위한 마음챙김 자비명상 기반 프로그램 효과 58
3. 논의 70
V. 종합 논의 74
참고문헌 7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