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탈동기 연구

초록/요약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자의 자신감 유지를 위해 학습자 참여 중심 교수· 학습 계획을 수립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과 인지주의 심리학에 영향을 받은 학습자 중심 교수법으로 외국어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L2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인 학습동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실제 학습동기와 학업 성취도 간의 강한 상관관계가 선행연구들을 통해 입증되었다. 특히 한국의 EFL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태도는 성공적인 영어학습의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공교육현장의 수업이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 이러한 상황에서 영어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탈동기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블렌디드 러닝 형태의 수업을 공교육현장에 적용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다음의 세 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영어 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탈동기가 어떠한가? 둘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영어 학습자의 성적에 따라 학습동기 및 탈동기는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셋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영어 학습자의 학년에 따라 학습동기 및 탈동기는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인천 A 여자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학습자의 기본 정보를 묻는 영역, 학생의 영어학습 동기 요인을 묻는 문항, 학생들의 탈동기 요인을 묻는 문항으로 총 55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영어학습 동기는 외재적 동기, 이상적 제 2언어 자아, 내재적 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탈동기화의 수준은 중간값을 기준으로 높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평균값을 비교해 보면 목표 언어에 대한 부정적 태도, 학습자의 자신감 결여, 영어학습의 강제성 순으로 탈동기화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모든 동기 요인들(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이상적 제 2언어 자아, 필연적 제 2언어 자아, 블렌디드 학습에 따른 동기)은 학습자의 성취도 그룹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전반적으로 상 그룹 학습자들이 하 그룹 학습자들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동기화 상태를 보였다. 성취도 그룹에 따른 탈동기는 전반적으로 하 그룹 학습자들이 상 그룹에 비해 높은 평균을 보였다. 셋째, 학년에 따른 동기 요인의 차이 내재적 동기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1학년 학생의 내재적 동기 수준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했다. 탈동기에 대한 학년별 차이는 블렌디드 학습에 따른 탈동기 요인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1학년 학생들의 가장 높은 탈동기 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의 제한점은 블렌디드 학습이 외적인 상황(코로나 19 팬데믹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에 따라 비계회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선행연구들의 결과에서처럼 블렌디드 러닝의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겠다. 첫째, 교사는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따라 학습자 수준별 동기 부여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자신감 결여, 목표 언어에 대한 부정적 태도, 영어학습의 강제성의 요인들은 성취도 하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가장 높은 탈동기 구인으로 작용하지만 동시에 모든 그룹의 학습자들에게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탈동기 구인이므로 수준별 방과 후 학습 지도나 수준별 분반 수업을 통해 탈동기화를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4
1.3. 연구 질문 4
Ⅱ. 이론적 배경 5
2.1 학습동기 정의 5
2.1.1 Gardner의 사회교육모형 이론(Self-Education Model) 5
2.1.2 Deci의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7
2.1.3 Dörnyei의 제 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L2 Motivational Self System)이론 11
2.2 탈동기 이론 13
2.3 선행연구 15
2.3.1 학업 성취도와 동기에 관한 연구 15
2.3.2 탈동기에 관한 연구 19
2.3.3 블렌디드 학습에 관한 정의와 선행연구 21
Ⅲ. 연구 방법 26
3.1 연구 대상 26
3.2 연구 도구 27
3.3 분석 방법 31
3.3.1 설문 문항 신뢰도 분석 31
Ⅳ. 결과 및 논의 32
4.1 영어학습 동기 분석 32
4.2 영어학습 탈동기 분석 34
4.3 학업 성취도에 따른 동기 및 탈동기 분석 36
4.3.1 학업 성취도에 따른 동기 분석 37
4.3.2 학업 성취도에 따른 탈동기 분석 40
4.4 학년에 따른 동기 및 탈동기 분석 43
4.4.1 학년에 따른 동기 분석 44
4.4.2 학년에 따른 탈동기 분석 45
Ⅴ. 결론 48
Ⅵ. 제언 및 제한점 54
참고문헌 55
부록 6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