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사회 초기 경력자의 경력개발 : 경력개발 행동과 성과의 변화를 중심으로

Changes in Career Development in Korea: Focusing on Career Behaviors and Success during the Early Career

초록/요약

지난 수십 년간 급격한 산업화와 두 번의 큰 경제위기로 한국 사회에서 개개인의 경력(career)을 둘러싼 환경은 크게 변화하였다. 또한, 이러한 환경 변화를 배경으로 개인의 경력 태도, 경력개발 활동, 그리고 경력 성공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러한 논의는 경력과 경력개발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확장하는데 기여하였으나 대부분 개념적 논의 수준에 그치거나, 특정 시점의 경력개발 특성에 제한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력과 관련된 기존의 논의를 확장하여, 개개인의 경력개발 행동을 유도하는 요인과 경력 성공을 이끄는 주도적 경력개발 행동을 정의하고, 이들 간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경력개발 태도-행동-성공 간의 관계 변화를 실증하는 시도로서 경력의 시작 단계에 있는 초기 경력자들에게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들의 경력 태도, 행동, 성공 간의 관계가 경력 환경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설정한 주요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경력자의 주도적 경력개발 행동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점차 증가해왔으며 둘째, 이러한 행동의 영향요인이 외재적 요인에서 내재적 요인으로 변화해왔고 셋째, 개인의 주도적 경력개발 행동이 객관적,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증가해왔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연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수집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자료를 활용하고, 연구 2에서는 동일 기간에 조사된 청년패널(YP) 자료를 활용하여 초기 경력자의 경력개발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지금까지 관련 학문 분야에서 개념적 논의에 그쳤던 개인의 경력개발 특성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연구대상 기간 동안 개개인을 둘러싼 경력 환경의 변화에 따라 경력개발에 대한 개인의 적극성과 자기 주도성이 강화되고 있었다. 또한 해당 기간 중 개인과 조직의 발전 가능성, 장래성과 같은 내재적 요인이 중요해지고, 적극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경력개발 행동이 임금 수준과 같은 객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경력개발 특성 변화를 실증한 것 외에도 주목 할 점은 경력개발 특성이 기존 논의들에서 전제한 선형적 변화보다 비선형적 변화의 특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즉 큰 흐름상으로는 개인의 경력개발 특성이 새로운 경력 개념으로 변화하지만, 큰 외부적 충격 발생 시 전통적 방식으로 일시 회귀하고, 이후 경제, 고용 등 회복 국면에서 다시 새로운 경력개발 특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2008-09년까지 주도적 경력개발 행동이 증가하다가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가 지속된 2010년부터 2013, 2014년까지는 일시 중단되고, 그 이후부터 과거의 변화패턴이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경력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경력 개념이 등장하여도 전통적 개념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개개인은 또 다른 환경 변화에 적응하면서 변화해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개념적으로만 논의된 경력을 둘러싼 변화를 실증하고, 최근 개인의 경력개발에서 강조되는 주도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유도하는 영향요인과 이러한 행동의 결과로써 경력 성공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그리고 경력 환경의 변화로 인해 초기 경력자의 경력개발 특성이 새로운 경력 개념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변화함을 발견함과 동시에 이러한 변화는 비선형적이므로 관련 연구 수행 시 경력 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밝혔다. 또한 개인은 경력 성공을 위해 적극적이고 자기 주도적 경력개발 행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조직은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근로자의 경력과 관련된 내재적 요인에 관심을 가지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국가는 초기 경력자에게 직업훈련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훈련 참여기회의 불평등이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는 만큼, 훈련 기회의 사각지대에 있는 재직근로자를 발굴하고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environment surrounding work and career has changed to a great extent over the past few decades. Previous scholarly efforts have contributed to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nature of career—particularly, individuals’ attitudes and behaviors related to managing or developing their own career. On the other hand, previous literature tended to be dominated by conceptual discussion, with relatively few empirical evidence concerning whether and how the way individuals develop their own career has been actually changing in the Korean context. Building on the previous literature, I focused on the changes in individuals’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and investigated how the relationships of those behaviors with the antecedents and the consequences have changed accordingly. Specifically, after defining the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in terms of voluntary turnover and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I proposed a series of hypotheses concerning: (1)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of those in the early career stage have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2) the influence of factors intrinsic to the job has increased over time, while that of factors extrinsic to the job has decreased, on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and (3) the influence of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on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has increased over time. To test the hypotheses, two consecutive studies were conducted. The data for Study 1 and Study 2 were sourced from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and Youth Panel, respectively,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 national institute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in Studies 1 and 2 to test the hypotheses provi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have become more prevalent among those in the early career stage between 2013 and 2017, presumably due to the change in the career environment during that period. In addition, over the same period of time, factors intrinsic to the job (e.g., perceived developmental opportunities) have become more influential, while factors extrinsic to the job (e.g., wage satisfaction) have become less influential, in predicting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Finally, the influence of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on objective career success (e.g., salary) has increased during that period. In addition to the changes in factors surrounding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it is noteworthy that those changes exhibit nonlinear patterns, rather than linear ones premised in the previous discussion. As shown in the analyses, while there has been a gradual increase in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 external shock in the career environment, temporarily put a halt to the emergence of so-called “new careers” between 2010 and 2012, which later resumed with the economic and employment recovery. Based on the findings, I propose that the emergence of new careers does not terminate the traditional careers and individuals make adjustments to adapt to the changing career environment. While the changing nature of career has been a topic of scholarly interest, discussion on the topic has been mainly conceptual. Further, previous empirical studies on the topic tended to focus on a specific point in time, thereby failing to deal with changes in career over time.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empirically showed whether and how changes in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have been occurring.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nd for the government. Individuals need to be more proactive in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organization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and provide support for factors intrinsic to the job to support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Given that vocational training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determining career success, it is crucial for the government to make the training opportunities more accessible so that individuals can participate in the training from the early stage of their own career.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8
제3절 논문 구성 12

제2장 이론적 배경 13
제1절 경력과 경력개발 13
1. 경력의 정의 13
2. 경력개발 이론의 발전 과정 15
제2절 한국 사회 경력 환경의 변화 34
1. 한국의 경제성장 34
2. 우리나라 경제위기와 경력 환경 변화 35
3. 우리나라 초기 경력자의 직장이동 특성 변화 38
제3절 경력개발 행동 43
1. 자기 주도적 경력개발 행동 43
2. 경력개발 행동으로서 이직과 직업훈련 46
제4절 경력개발 행동과 경력 성공 51
1. 경력 성공 51
2. 객관적 경력 성공과 주관적 경력 성공 52
3. 경력개발 행동의 변화와 경력 성공 53

제3장 연구 방법 56
제1절 연구개요 56
제2절 분석 자료 및 가설 검정 방법 59

제4장 연구 1 64
제1절 분석 자료 및 방법 64
1. 분석 자료 64
2. 분석 방법 66
3. 개념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 71
제2절 주요 변수의 기초통계 77
제3절 실증분석 결과 86
1. 대졸 초기 경력자의 자기 주도적 경력개발 행동 및 영향요인 변화 86
1) 대졸 초기 경력자의 자발적 이직 및 첫 직장 근속기간의 변화 86
2) 대졸 초기 경력자의 자기 주도적 경력개발 영향요인 변화 92
3) 대졸 초기 경력자의 직업훈련 참여 여부의 변화 106
4) 대졸 초기 경력자의 직업훈련 참여 영향요인의 변화 109
2. 대졸 초기 경력자의 자기 주도적 경력개발이 객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 변화 114
3. 대졸 초기 경력자의 자기 주도적 경력개발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 변화 135

제5장 연구 2 144
제1절 분석 자료 및 방법 145
1. 분석 자료 145
2. 분석 방법 148
3. 개념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 152
제2절 주요 변수의 기초통계 156
제3절 실증분석 결과 159
1. 초기 경력자의 자발적 이직 행동 및 첫 직장 근속기간 차이 159
2. 초기 경력자의 이직 의도 및 자발적 이직 행동 영향요인 차이 160
3. 초기 경력자의 자기 주도적 경력개발 행동이 객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 168
4. 초기 경력자의 자기 주도적 경력개발 행동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 182

제6장 결 론 191
제1절 요약 및 논의 191
제2절 이론적 함의 198
제3절 실무적 함의 202
제4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 208

참고문헌 21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