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교사의 교사협력, 태도역량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교사의 교사협력, 태도역량과 교사효능감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사협력과 태도역량이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안교육 특성화학교와 일반계 중고등학교 교사에게 있어서 교사협력과 태도역량 및 교사효능감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교사들의 교사협력과 태도역량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교사들의 교사협력과 태도역량은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교사들이 일반계 중고등하교 교사들보다 교사협력, 태도역량 및 교사효능감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교사들의 교사협력과 태도역량 및 교사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교사들의 교사협력과 태도역량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도역량이 교사협력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으로 구체화하면, 교사협력에 있어서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교사들은 지식 및 정보공유, 자율성, 공동의 목적의식이 교사효능감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도역량에 있어서는 학생에 대한 관심과 공감이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사협력과 태도역량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학교 차원에서 대안교육의 방향, 학생들에 대한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는 교사들의 모임 및 교사들의 사기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3. 용어의 정의 7
가. 교사효능감 7
나. 교사협력 8
다. 태도역량 8
Ⅱ. 이론적 배경 9
1.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및 대안학교 교사 9
가. 대안교육 특성화학교의 개념 9
나. 대안학교 교사의 특성 11
2. 교사효능감 13
3. 교사협력 15
4. 태도역량 18
5. 변인 간의 관계 22
가.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 22
나. 태도역량과 교사효능감 23
Ⅲ. 연구방법 25
1. 연구대상 25
2. 측정도구 27
가. 교사협력 27
나. 태도역량 28
다. 교사효능감 29
3. 연구절차 30
4. 자료분석 30
Ⅳ. 연구결과 32
1. 변인들의 기술통계치와 집단 간 차이 검증 32
가.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32
나. 학교유형에 따른 교사협력, 태도역량, 교사효능감의 차이 34
2.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교사의 교사협력, 태도역량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36
3.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교사의 교사협력, 태도역량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39
가. 교사협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39
나. 태도역량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40
다. 교사협력과 태도역량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41
Ⅳ. 논의 및 결론 43
1. 요약 및 논의 43
2. 결론 및 제언 45
참고문헌 4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