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생의 사회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각 하위요인들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상담 장면에서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개입 방안들을 확인하는 게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사회불안, 지각된 사회적지지,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거된 설문 중 불성실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설문을 제외하고 317부의 자료를 최종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9.0의 Process Macro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사회불안과 심리적 안녕감은 부적 상관,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은 정적 상관, 사회불안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부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불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회적지지 하위요인의 병렬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지지와 평가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정보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물질지지는 유의한 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매개한다는 것을 밝혀 기존 연구를 심층적으로 확장시켰다. 그리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중 정서지지와 평가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정보지지는 오히려 심리적 안녕감을 낮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을 상담할 때 정서지지와 평가지지를 충분히 지각할 수 있게 하는데 주력하여 긍정적 자아상 형성을 돕는 것이 심리적 안녕감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 전략일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에게 사회적 지지의 지각을 도울 때, 정보지지에 대한 차원은 섬세하게 접근하여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1. 사회불안 8
가. 사회불안의 개념 및 특징 8
나. 대학생의 사회불안 10
2. 심리적 안녕감 12
가. 심리적 안녕감의 개념 및 특징 12
나.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14
다. 사회불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16
3. 지각된 사회적지지 17
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개념 및 특징 17
나. 사회불안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간의 관계 21
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22
4. 사회불안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23
Ⅲ. 연구 방법 25
1. 연구 대상 및 절차 25
2. 측정도구 26
가. 사회불안 척도 26
나. 심리적 안녕감 척도 26
다. 지각된 사회적지지 척도 27
3. 분석방법 28
Ⅳ. 연구결과 30
1. 연구 변인들의 기술통계 30
2. 연구 변인간의 상관분석 30
3. 대학생의 사회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다중매개효과 33
Ⅴ. 논의 및 결론 37
1. 요약 및 논의 37
2. 결론 및 제언 42
참고문헌 45
부록 5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