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SGLT2 억제제의 뇌졸중 보호효과 : 공통데이터모델의 후향적 코호트 연구

초록/요약

연구목적 당뇨병은 전 세계 여러 환자에게서 사망을 유발하는 만성질환 중 하나로 2030 년까지 전 세계 인구의 10.2% (5억 8,800 백만 명)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심혈관 질환은 제2형 당뇨병 환자(T2DM)의 이환율 및 사망률의 주요 원인이며, 심혈관 질환의 예방은 혈당 조절만큼 T2DM에서 치료의 중요한 목표이다. 최근 새로운 기전으로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는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 2 억제제 (SGLT2억제제)가 주요 심혈관 부작용(MACE)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뇌졸중에 대한 SGLT2 억제제의 효과에 대해서는 상당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뇌졸중 하위 유형의 위험에 대한 SGLT2 저해제의 일치되지 않은 효과가 뇌졸중의 전체 발생률을 가려서 이전 연구에서 결론 지은 중요하지 않은 뇌졸중 위험에 대한 불일치가 있었다고 가정하였다. 이 가설을 바탕으로 SGLT2 억제제 치료와 잠재적으로 관련된 1차성 뇌졸중과 뇌졸중의 하위 유형별 발생빈도를 후향적 관찰 코호트 연구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 OHDSI 공동연구 회로망에서 제공하는 OMOP-CDM으로 변환된 8개 병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2013 년 11 월부터 2020 년 5 월까지 SGLT2 억제제와 DPP4 억제제 신규 사용자를 추출하였다. 환자특성, 동반질환 및 약물 치료에 의해 계산된 성향점수에 의해 1:4로 일치하는 두 그룹으로 나누고 약물 최초 투여일부터 30일, 365일, 1825일 별로 결과의 발생빈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Cox 비례 위험 모델을 사용한 위험비를 계산한 후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분석에서 나온 위험비를 결합하여 복합효과 추정치를 도출하여 결과를 정량화 하였다. 결과 매칭 후 총 10,242 명의 T2DM 환자가 SGLT2억제제 (n = 2,465)와 DPP4 억제제 (n = 7,777)에서 신규 사용자로 확인되었다. (1년 후에는 SGLT2 억제제에서 2,275명, DPP4 억제제에서 6,036명으로 총 8,311명) SGLT2 억제제 투여군과 DPP4 억제제 투여군의 뇌졸중 위험비는 30일에서 0.83[95 % CI, 0.36-1.90], 365일에서 0.55[95 % CI, 0.33-0.92], 1825일에서 0.57[95 % CI, 0.39-0.83]로 SGLT2 억제제 투여군에서 DPP4 억제제 투여군에 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미하게 뇌졸중 사건 발생률에 차이가 났다. 2차 결과인 출혈성 뇌졸중의 경우는 8개 병원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발생빈도가 적어 30일과 365일, 1825일에서 결과의 위험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허혈성 뇌졸중 위험비는 30일에서 0.86 [95 % CI, 0.37-1.98], 365일에서는 0.55 [95 % CI, 0.33-0.93], 1825일에서는 0.59 [95 % CI, 0.40-0.87]로 SGLT2억제제가 DPP4억제제에 비해 365일 이후부터 허혈성 뇌졸중의 발생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고 5년까지 그 위험비가 감소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보여 SGLT2 억제제가 허혈성 뇌졸중에 보호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고찰 본 연구는 이전의 MACE결과를 확장하여 SGLT2 억제제가 T2DM환자의 당뇨병성 뇌졸중에도 보호효과가 있음을 보고한다. 여러 뇌혈관 및 신경세포 보호 기전들이 추가적으로 확인되고, 임상에서도 SGLT2 억제제의 뇌졸중 질환 예방 효능이 추가로 검증되면, SGLT2 억제제는 심혈관 질환이 존재하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반드시 사용되어야 할 약제로 보다 공고히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장 연구 방법 5
제1절 공통 데이터 모델 (CDM) 과 비교자 5
제2절 연구설계 및 데이터 6
제3절 연구약물 및 결과변수 정의 12
제4절 통계분석 19
제3장 결과 23
제1절 코호트 특성과 코호트 간의 균형 23
제2절 뇌졸중 발생위험 분석결과 58
제3절 1차 결과와 2차 결과 71
제4장 고찰 72
제5장 참고문헌 7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