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근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종별 근로여건과 사회심리적 요인의 비교 및 모형 개발

Comparison of Working conditions and psychosocial factors by occupation group and model development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초록/요약

근로만족도는 업무의 질과 직장동료, 가족 구성원에게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노동자의 직업특성 및 사회·심리적인 요인 등 근로여건에 관련된 개인적인 요인들도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각 요인들이 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나 그로 인한 직무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로환경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근로여건과 사회심리적 요인이 근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계도를 모형으로 개발하여 각 요인이 직무열의에 매개한 근로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한 2017년도 근로환경조사 데이터를 대상으로 근로여건과 사회심리적 요인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 요인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업군 별 경로모형을 도출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의 근로여건, 사회심리적 요인, 주관적 건강상태, 근로환경 만족도, 직무열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왜도와 첨도를 통해 정규성 가정 충족 여부를 확인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근로여건, 사회심리적 요인, 주관적 건강상태, 근로환경 만족도, 직무열의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을 개발하고, 모형 요인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검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사무직 종사자의 사무직 종사자의 주당 근무일수가 적을수록, 일-생활 밸런스가 좋을수록, 일-생활 불균형이 낮을수록, 직무환경이 좋을수록 우울감이 낮을수록 직무열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따라서 상기 요인이 직무열의를 매개하여 근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무직 종사자의 주당 근무일수가 적고, 일-생활 밸런스가 높으며, 일-생활 불균형이 낮고, 직무환경이 좋으며, 우울감이 낮음으로써 직무열의가 높아지고, 직무열의가 높아짐으로써 직업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두 번째, 생산직 종사자의 주당 근무일수가 많을수록, 일-생활 밸런스가 좋을수록, 일-생활 불균형이 낮을수록, 직무환경이 좋을수록, 우울감이 낮을수록 직무열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직 종사자의 주당 근무일수가 많고, 일-생활 밸런스가 높으며, 일-생활 불균형이 낮고, 직무환경이 좋으며, 우울감이 낮음으로써 직무열의가 높아지고, 직무열의가 높아짐으로써 직업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각 직종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고 이를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직무열의를 매개하여 직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각 직종에 대한 근로환경 및 직무열의 개선으로 사회적, 경제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more

목차

제 1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 절차 9
제 2장 이론적 고찰 12
제 1 절 근로여건 12
제 2 절 사회심리적 요인 17
제 3 절 경로분석 방법론 24
제 3장 연구방법 26
제 1 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6
제 2 절 연구대상 28
제 3 절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판단하기 위한 상관분석 29
제 4 절 직종별 주관적 건강상태 여부에 따른 직업만족도 모형 개발 32
제 4장 기술통계 34
제 1 절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34
제 2 절 측정도구의 신뢰도 39
제 3 절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43
제 4 절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45
제 5장 경로모형 개발 47
제 1 절 기본 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 47
제 2 절 경로별 유의성 검증 49
제 3 절 간접효과 검증 결과 52
제 6장 직종별 경로모형 개발 및 검증 54
제 1 절 사무직 종사자 54
제 2 절 생산직 종사자 60
제 3 절 직종별 결과 65
제 7장 결론 및 검토 68
제 1 절 직종별 경로분석 결과 요약 68
제 2 절 연구성과 및 의의 70
제 3 절 연구한계 및 방향성 74
참고문헌 7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