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유아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실태와 인식 및 요구분석

초록/요약

본 연구는 2020년 COVID-19의 발생으로 시작된 영유아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실태와 인식을 파악하고 운영에 대한 요구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교육기관의 원격수업 준비와 바람직한 운영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2. 영유아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영유아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8개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유아 교사 322명이다. 연구도구로 원격수업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였으며, 유아교육전문가 의 지도와 조언 및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분석은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파악하고, 변인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χ2 검정과 t 검정, 일원변량분석(F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 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집단 간 차이 규명을 위해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실태를 살펴본 결과 원격수업을 실시한 경험보다 원격수업을 실시하지 않은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긴급보육 및 긴급돌봄 형태로 많은 영유아가 등원하는 상황이기 때문으로 응답되었다. 원격수업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실시유형을 살펴본 결과 놀이꾸러미를 활용한 수업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원격수업 실시로 인하여 새로운 교육 방식의 도입이 교사에게 나타난 긍정적 효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어려웠던 점은 원격수업과 등원수업의 병행으로 교육활동이 반복되고 업무가 과중되는 것으로 지적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분야의 특수성을 고려한 제도적 개선 및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원격수업의 실시경험에 따른 가정내 참여도, 학부모 만족도, 교사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보통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인식을 살펴 본 결과 원격수업의 개념으로 ‘활동제시형+온라인 콘텐츠+쌍방향 수업을 모두 병행하는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사한 차이로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쌍방향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영유아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직면해야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원격수업 적정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유아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요구를 살펴 본 결과 교사들은 원격수업과 등원수업 병행을 위한 운영지침의 필요성과 함께 인적자원의 필요성이 높게 요구되고 있었다. 원격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영유아 원격수업을 위한 학급 보조인력 등의 인적 자원 확보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유사한 차이로 영유아 원격수업에 관련된 콘텐츠 제공, 교사교육 실시 등의 순으로 많은 응답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현재 COVID-19 상황에 대처하는 원격수업의 도입을 넘어, 추후 감염병 상황이나 천재지변 상황에서 효율적이고 유연한 대처를 위한 방안이 모색하고, 더 나아가 미래사회의 인재 육성의 시작점에 있는 유아교육분야에서 원격수업에 대한 국가수준의 체계와 지원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원격수업의 개념 및 필요성 8
가. 원격수업의 개념 8
나. 원격수업의 필요성 10
2. 원격수업의 역사 및 발전과정 11
3. 원격수업 시대와 영유아교육 13
4. 원격수업의 운영 15
가. 원격수업의 유형 15
나. 원격수업의 내용 및 방법 17
다. 영유아 원격수업에 관한 운영관리 20
5. 원격수업을 위한 교사 역할 24

Ⅲ. 연구방법 28
1. 연구 대상 28
2. 연구 도구 32
3. 연구 절차 33
가. 사전면담 및 예비조사 33
나. 본 조사 35
4. 자료 분석 3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6
1. 영유아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실태 36
2. 원격수업에 대한 인식 46
3. 원격수업에 대한 요구 63

Ⅴ. 논의 및 결론 73
1. 논의 73
2. 결론 80
3. 제언 82


참 고 문 헌 84
부 록 9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