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SGLT2 억제제의 심부전 발생 감소 장기효과 : 공통데이터모델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초록/요약

연구목적 국내의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DPP4 억제제 계열과 비교한 SGLT2 억제제 계열의 심부전 발생 감소 효과와 all-cause death 발생 감소 효과에 대하여 약물 사용 후 30일, 180일, 365일, 1,095일, 1,825일 이내의 심부전 진단과 all-cause death을 확인하여 SGLT2 억제제의 장기적인 심부전 발생 위험 감소 효과와 all-cause death 발생 위험 감소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3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의 5개 병원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였다. OMOP CDM(공통데이터모델) 버전5.3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였다. SGLT2 억제제와 DPP4 억제제를 최초로 사용한 환자 중 성향이 일치된 사용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결과는 각 데이터베이스의 최초 약물 사용 후 30일, 180일, 365일, 1,095일, 1,825일 이내의 심부전 진단과 all-cause death이다. Review Manager (RevMan). version 5.4.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20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하였다. 결과 DPP4 억제제와 비교하여 SGLT2 억제제는 약물 사용 후 30일 이내에서 심부전 발생 위험은 중립적이었다(RR: 0.45; 95% CI: 0.19 – 1.10; P = 0.08). 180일 이내(RR: 0.41; 95% CI: 0.19 – 0.88; P = 0.02), 365일 이내(RR: 0.30; 95% CI: 0.15 – 0.60; P = 0.0007), 1,095일 이내(RR: 0.40; 95% CI: 0.24 – 0.68; P = 0.0007) 및 1,825일 이내(RR: 0.35; 95% CI: 0.21 – 0.59; P<0.0001)의 장기적관찰에서 심부전 발생위험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All-cause death에 대해 약물 사용 후 30일 이내(RR: 0.82; 95% CI: 0.20 – 3.32; P = 0.78), 180일 이내(RR: 0.84; 95% CI: 0.33 – 2.15; P = 0.72), 365일 이내(RR: 0.82; 95% CI: 0.35 – 1.90; P = 0.64)에서는 중립적이었고, 1,095일 이내에서는 근소하게 유의한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RR: 0.44; 95% CI: 0.19– 1.00; P = 0.05). 1,825일 이내의 장기적관찰에서 DPP4 억제제에 비해 SGLT2 억제제 사용 후 all-cause death 발생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했다(RR: 0.38; 95% CI: 0.17 – 0.85; P=0.02). 고찰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를 확장하여 SGLT2 억제제 사용 후 장기간인 180일, 365일, 1,095일, 1,825일 이내에서 심부전 발생위험 감소와 장기적인 all-cause death 발생위험 감소와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 함으로써 이 연구는 의미 있는 발견이 될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Objectiv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Korea, the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heart failure and all-cause death in the SGLT2 inhibitors is compared to the DPP4 inhibitors within 30days, 180 days, 365 days, 1,095days and 1,825 days and to evaluate the long-term effect of SGLT2 inhibitors. Methods From 2013 to 2021, retrospective cohort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databases from five hospitals in Korea. We analyze the network databases using OMOP CDM (Common Data Model) version 5.3. Among the users of SGLT2 inhibitors and DPP4 inhibitors, the study included propensity matching users. Outcomes are diagnoses of heart failure and all-cause death at 30, 180, 365, 1,095 and 1,825 days after initial drug use in each database. Meta-analysis was done using Review Manager (RevMan). version 5.4.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20. Results Compared to the DPP4 inhibitors, SGLT2 inhibitors had a neutral risk of developing heart failure within 30 days of drug use (RR: 0.45; 95% CI: 0.19 – 1.10; P = 0.08). Long-term observation within 180 days (RR: 0.41; 95% CI: 0.19 – 0.88; P = 0.02), 365 days (RR: 0.30; 95% CI: 0.15 – 0.60; P = 0.0007), 1,095 days (RR: 0.40; 95% CI: 0.24 – 0.68; P = 0.0007) and 1,825 days (RR: 0.35; 95% CI): 0.21 – 0.59; P <0.0001), the risk of heart failure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DPP4 inhibitors, SGLT2 inhibitors had a neutral risk of all-cause death within 30 days (RR: 0.82; 95% CI: 0.20 – 3.32; P = 0.78), 180 days (RR: 0.84; 95% CI: 0.33 – 2.15; P = 0.72) and 365 days (RR: 0.82; 95% CI: 0.35 – 1.90; P = 0.64) of drug use. It was associated with a slightly significant decrease within 1,095 days after drug use (RR: 0.44; 95% CI: 0.19– 1.00; P = 0.05). Long-term observation within 1,825 (RR: 0.38; 95% CI: 0.17 – 0.85; P=0.02), the risk of all-cause death was significantly reduced. Conclusion In this study, we extend our previous study to relate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risk of heart failure within a period of 180 days, 365 days, 1,095 days and 1,825 days after use of SGLT2 inhibitors. This study could be a meaningful finding as it shows that the reduction in the risk of heart failure and all-cause death are maintained even within a long period of 1,825 days.

more

목차

I . 서론 1
A . 연구의 배경 1
B . 연구 목적 5
II . 연구방법 6
A . OMOP-CDM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6
B . 데이터 소스 6
C . 연구설계 및 연구대상 9
D . 데이터 분석 11
E . 통계분석 13
III . 결과 16
A . 코호트 특성 16
B . 결과 36
IV . 고찰 54
V . 참고문헌 5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