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 실천 과정에 나타난 평생교육적 확장성 탐색 연구

Inquiry on Extending the Lifelong Educational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Practice of the Korean Community Education Movement

초록/요약

기존의 사회교육을 대신하는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하면서 현대의 평생교육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지역경쟁력 강화와 정책적 성과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1968년 미국으로부터 한국에 도입된 지역사회교육운동은 지역사회 내의 모든 교육 자원과 역량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주민의 다양한 욕구를 찾아내고, 주민 개개인의 성장은 물론 지역사회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지역사회교육이념을 실천하는 자발적인 운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교육운동의 태동에서부터 시대별 전개과정의 변천사를 통해 평생교육적 확장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에서 발간한 문헌자료인 보고서, 운동사, 포럼자료집, 새 이웃 월간지 등 역사사료와 관련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역사사회학적 접근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Guba & Lincoln이 제시한 진실성, 적용성, 일관성, 중립성에 기초하여 연구를 검증하였다. 자료 수집을 통해 연구자가 분석한 결론은 참여자(member check)와 동료 연구자 2명에게 검토 과정을 거쳤다. 지역사회교육운동의 역사 전개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개관하고, 지역사회교육운동 실천과정에서의 주요 양상을 지역사회학교 활동기(1968~1982), 사회교육운동 실천기(1983~1999), 평생교육적 확장기(2000~현재)로 구분하여, 평생교육 확장성의 관점에서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교육운동의 실천과정에서 나타난 평생교육적 확장성의 특징을 규명하고, 이러한 변화 과정에 영향을 미친 정책이나 제도의 변화과정에 근거하여 사회학적 입장에서 분석하고, 지역사회교육운동의 제 측면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실천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의 전개과정을 분석함에 있어 ‘지역사회학교 활동기’는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여 주민들의 의식을 고양했던 시기로 미국 Flint시의 학교시설 활용사례를 우리나라에 적용해본 활동기이다. 사회교육운동 실천기는 학교 운동장 개방 또는 시설 개방을 넘어 사회교육법 제정과 함께 학교 외 사회교육에 대한 법적 제도가 만들어지면서 사회교육운동의 이념지향성으로 운동의 정체성이 전환됨이 나타났다. 지역사회교육 이념의 사회교육적 확장과 함께 시민의식·교육의식·여성의식 함양 지역사회교육실천 운동의 확장성이 특징적 양상으로 드러난 시기이었다. 평생교육적 확장기에서는 지역사회교육 패러다임의 평생교육적 전환과 지역사회활동과 학습동아리의 ‘실천연구소모임’으로의 확장, 지역리더 육성을 위한 시민학습공동체 운동, ‘홈빌더 운동’을 통한 희망공동체 운동으로의 확장이 나타났다. 이 연구가 가진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시설을 지역주민과 지역사회에 개방하여 누구든지 배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서 학교 경계의 확장과 함께 학교의 시간적·공간적 한계를 넘는 평생교육적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주민의 생활개선을 위한 실천조직의 형성과 실천과제를 해결하기위해 학교와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기관들과의 연대를 통해 지역주민들에 필요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은 학습공동체 문화 확산에 이바지한다. 넷째, 개인학습에서 공동체 학습으로 변화하며, 개인만이 아닌 공동체의 성장으로 확대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 실천 양상은 기존의 ‘교육은 학교교육’이라는 관점에서 ‘교육은 평생교육’으로 인식이 전환됨을 확인하며, 개인의 ‘나’ 중심이 아닌 ‘우리의 공동체’를 바라보는 공동체성으로 이동하는 것을 통해 평생교육의 이념에 부합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교’라는 경계의 확장과 시간적·공간적인 한계를 넘고,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공동체의 구성 및 지역연대를 통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확장을 이루어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개인의 성장 뿐 아니라 공동체로 확장하여 성장하는 ‘평생교육 원형’을 지역사회교육에서 볼 수 있었다. 셋째, 지역사회학교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 지역사회 현안 문제를 파악하면서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배움의 장(learning to know)’을 열고, 서로 만나(만남의 장, learning to meet), 협력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나눔의 장(learning to do)’의 해결책 모색 및 실천하는 가운데 지역사회참여를 통한 지속적 학습이 이루어지고, 더불어 나눔을 실천하는 ‘보람의 장(learning to live together)’으로 이어지게 된다. 궁극적으로 존재를 위한 학습으로 ‘성장의 장(learning to be)’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후속연구로 첫째, 지역사회교육 및 지역사회교육운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연구와 함께, 지역사회교육운동을 통해 전개해 온 국내외 실천적 사례들을 적극 발굴하여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이념적 정체성을 확립함으로써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의 실천성과 학문적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연구를 제시한다. 둘째, 지역사회교육의 저변확대와 실천사례 공유를 위한 국제적 학술교류를 통해 평생교육이 추구하는 방향으로 확장시켜 나가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Ⅱ.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지역사회교육운동 5
1. 지역사회교육의 실천 구조 5
가. '지역사회교육'의 의미 5
나. 지역사회학교의 운영 조직 8
다. 지역사회교육으로의 구조적 변화 12
2. 지역사회연대를 위한 지역사회학교운동 16
가. 지역사회학교의 이념지향성 16
나. 학교와 지역사회 연대 19
다. 지역사회학교운동의 실천지향성 23
3. 의식 함양을 위한 지역사회교육운동 27
가. 시민의식 함양 지역사회교육 28
나. 교육의식 함양 지역사회교육 30
다. 시민교육의 사회의식 함양 지역사회교육 32
4.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지역사회교육운동 37
가. 학습사회론의 평생교육이념 지향성 37
나. 지역공동체운동과 평생교육 40
Ⅲ. 연구 방법 45
1. 분석 대상 45
2. 자료 수집 46
3. 자료 분석 47
Ⅳ.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의 역사적 전개 과정 50
1. 지역사회교육의 시대 구분 배경 50
가. 관주도와 민간주도의 지역사회교육운동 전개 50
나. 지역사회교육운동 전개의 법적 기반 53
2. 지역사회교육운동의 시대별 전개과정 57
가. 지역사회학교 활동기(1968년~1982년) 57
나. 사회교육운동 실천기(1983년~1999년) 63
다. 평생교육적 확장기(2000년~현재) 71
Ⅴ. 한국지역사회교육운동 실천 양상 및 평생교육적 확장성 77
1. 지역사회학교 활동기(1968~1982)의 평생교육적 확장성 77
가. 지역사회학교운동의 태동 : 영화 'To Touch a Child' 77
나. 재동지역사회학교에서 싹튼 '잘 사는 나라를 향한 교육운동' 83
다. 매미학교와 흰눈학교에서 움튼 초기 지역사회학교운동 85
라. '젊은 새이웃', 지역사회교육운동 주체의 확장 89
마. 초기 활동가 회고를 통해 본 '지역사회학교운동' 의미 찾기 93
2. 사회교육운동 실천기(1983~1999)의 평생교육적 확장성 102
가. 지역사회교육 이념의 사회교육적 확대 103
나. 시민의식 함양 지역사회교육실천운동의 확장성 107
다. 여성의식 함양 지역사회교육실천운동의 확장성 108
라. 교육의식 함양 지역사회교육실천운동의 확장성 113
3. 평생교육적 확장기(2000~현재)로의 이행 122
가. 지역사회교육 패러다임의 평생교육적 전환 122
나. 지역활동가 학습동아리의 '실천연구소모임'으로의 확장 129
다. 지역리더 육성을 통한 시민학습공동체 운동 131
라. '홈빌더 운동'을 통한 희망공동체 운동으로의 확장 134
Ⅵ. 논의 및 결론 138
1. 논 의 138
2. 결 론 142
참 고 문 헌 14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