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E-learning 환경의 중고등학교 영어 수업에 관한 실재감과 만족도 인식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의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E-learning 상황에서의 실재감과 성취감, 그리고이들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총 10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의 다영한 변인을 고려하지 못했던 선행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성별, 학교급, 영상 선호도, 영상 활용도, 영어 능숙도와 같은 배경 변인을 중심으로 집단 간의 차이와 교수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성취감 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중•고등학생들은 E-learning을 통한 학습환경 속에서 영상 선호도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학교급과 영상 활용도의 경우, 집단 간의 차이가 가장 두드러지는 점을 확인했으며, 학교급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영상 활용도에서는 인지적 실재감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통합하여 각 실재감과 성취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실재감은 성취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수 실재감과 성취감이 다른 실재감에 비해 가장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분리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재차 진행한 결과, 고등학생은 전체 상관관계 분석과 마찬가지로 교수 실재감과 성취감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중학생의 경우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감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보이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성별, 학교급, 영상 활용도, 영어 능숙도에 따른 실재감의 차이는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학교급과 영상 활용도에 따라 학습자들이 어떤 실재감을 가장 크게 인식하는지를 구분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E-learning 수업을 설계할 때, 학습자들에게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방식보다는 학교급별로 차별화된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며, 영상 활용도와 영어 능숙도 등과 같은 학습자들의 개인 변인을 충분히 고려하여 학습의 실재감을 높일 수 있도록 수업 활동과 과업을 조직할 것을 권장한다.

more

목차

Ⅰ.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문제 4
Ⅱ.이론적 배경 5
1. 실재감의 정의와 특징 5
2. 교수 실재감 6
가. 교수 실재감 개념 6
나. 교수 실재감 구성요인 7
3. 인지적 실재감 9
가. 인지적 실재감 개념 9
나. 인지적 실재감 구성요인 10
4. 사회적 실재감 12
가. 사회적 실재감 개념 12
나. 사회적 실재감 구성요인 13
5. 선행연구 17
Ⅲ. 연구방법 20
1. 연구 대상 20
2. 연구 절차 21
3. 측정 도구 21
가. 교수 실재감 측정 도구 22
나. 인지적 실재감 측정 도구 23
다. 사회적 실재감 측정 도구 24
라. 성취감 측정 도구 24
4. 자료 분석 방법 25
Ⅳ. 연구결과 26
1. 기초 통계 분석 결과 26
2. 배경 변인에 따른 실재감과 성취감의 차이 29
가. 성별에 따른 차이 29
나. 학교급에 따른 차이 31
다. 영상 선호도에 따른 차이 33
라. 영상 활용도에 따른 차이 33
마. 영어 능숙도에 따른 실재감과 성취감의 차이 37
바. 실재감과 성취감의 상관관계 40
Ⅴ. 결론 및 제언 42
1. 결론 42
2. 연구의 제한점 45
참고문헌 4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