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연구

Teacher’s cognitive investigation on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Recording unitization.

초록/요약

2014년 일선 학교의 교사들로부터 시작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가 이제 많은 학교에서 시행·정착되고 있다. 시행 초기부터 연구자들은 일체화를 위한 교육과정 분석, 과정중심평가, 그리고 일체화 적용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등을 진행하였다. 현장 교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한 일체화 수준 진단 문항 개발 연구와 심층면담 후 근거이론에 따라 분석한 연구, 교사 인터뷰를 통한 일체화 모형 개발 연구 등도 있었으나, 일체화 보급 초기 단계의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4~5년 정도 지난 현 시점에서 일체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일체화를 실제로 적용할 때 어려운 점과 그 극복 방법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일체화가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해 가야 하는지를 살펴보고, 수학 교과에 적합한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일선 학교에서 일체화를 최소 4년 이상 실천하고 있으며, 일체화의 정의와 필요성, 그리고 자신의 실천사례를 다른 교사들에게 이야기해줄 수 있는 강사 경험이 있는 교사 중에 9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 형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사들은 일체화를 실천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을 꼽았으며, 특히 수학 교사들의 경우 학생들에게 수학의 필요성을 알려주기 위해서는 실생활과 연계하여 수업을 구상하고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이는 Freudenthal의 ‘현실과 결부된 수학’이나 NCTM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연결성’의 관점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사 인식조사를 반영하여 수학 교과에서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을 설정하고, 실생활과 연계한 수업자료를 개발 및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체화를 실천하고 있는 교사들은 일체화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일체화를 실천하면서 자신의 수업에 대해 성찰할 수 있게 되었으며, 교사의 전문성 또한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학생중심수업과 과정중심평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피드백을 통해 스스로 계획하고 탐구하며 표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즉 일체화가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학생의 성장에 도움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일체화를 실천하고 있는 교사들은 일체화를 위해서 교육과정 재구성이 선행되어야 하며, 교육과정이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재구성되었을 때 제대로 된 학생중심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학생중심수업의 안착을 위해서는 과정중심평가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며, 각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일체화가 성공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의 설문조사 결과 실생활과 연계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수업은 학생들의 수학학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을 통해 정의적 영역의 외적 특성 중 ‘수학 학습태도’와 ‘가치’ 부분이 향상되었으며, 정의적 영역의 내적 특성인 ‘효능감’과 학생들의 수학학습성향 중 ‘수학 수업 참여도’ 역시 높아졌다. 또한 실생활과 연계하여 배우는 것은 학생들에게 수학의 필요성을 깨닫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일체화가 일선 학교에서 정착되려면 시·도교육청에서 매년 세우는 기본계획에 일체화의 개념이 지속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며, 교사들의 수업과 평가를 도와줄 수석교사의 수를 늘려야 한다. 또한 교사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수업 중심의 업무 재구조화 및 학급당 인원수 감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more

초록/요약

The unitization of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Recording which began with teachers at schools in 2014, is now being implemented and settled in many schools. From the beginning of its implementation, researchers conducted studies for unitization such as curriculum analysis, Process-Based Evaluation, and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unitization. There were also studies on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teachers, and development of unitization-level diagnostic questions or unitization models based on teacher interviews. However, most of them was conducted in the early stages of unitization. Therefore, about 4~5 years after the unitization was introduc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rection in which unitization should develop in the future by analyzing and systematically arranging the teachers' perception of unitization, difficulties in applying unitization and how to overcome them, and to find out how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suitable for mathematic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9 teachers who have been practicing unitization for at least 4 years, have instructor experience explaining the definition, necessity, and their practice cases of unitization to other teachers. They cited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a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implement unitization, and especially mathematics teachers said that it was effective to plan and conduct Instruction linked to reallife in order for student to realize the need for mathematics. This is in line with Freudenthal's idea of 'Realistic Mathematics' and NCTM's ‘Connectivity'. Reflecting the aforementioned teachers' perceptions, this study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in mathematic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developing and applying instruction materials containing contents related to reallif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racticing unitization thought that unitization is helpful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By practicing unitization, they were able to reflect on their instruction and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Also, through Student-Centered Instruction, Process-Based Evaluation, and various forms of feedback provided throughout the courses, students can learn how to plan, study, and express. In other words, unitization help teachers to improve professionalism and help students to growth. Second, teachers practicing unitization argued that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should be the first step for unitization, and that Student-Centered Instruction can be properly conducted when the curriculum is re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student. In order for these Student-Centered Instruction to settle down, the Process-Based Evaluation must be accompanied, and unitization can be successfully realized only when each element are organically harmonized.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answered by students, the instruction based on the curriculum which reconstructed in link with reallife help students learn mathematics. Through the instruction, ‘Learning Attitude of Mathematics’ and ‘Value’ among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affective aspects, ‘Sense of Efficacy’ among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affective aspects, and ‘Participation Level of Mathematics Instruction’ among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have been improved. Also, it was shown that learning in conjunction with real life helps students to realize the need for mathematics.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In order for unitization to be successful in school, the concept of unitization should consistently be included in the basic plan established by the city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number of Master Teacher should be increased to help teachers in instruction and evaluation. And to allow teachers to concentrate on teaching, the task should be reorganized into Teaching-Oriented form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should be reduced.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의 6
가.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6
나. 과정중심평가 6
4. 제한점 8
Ⅱ. 선행연구 9
1. 일체화 도입 배경 및 목적 9
2. 일체화 모형에 관한 연구 17
3. 일체화를 위한 선행연구 22
가. 교육과정 분석 및 재구성에 관한 연구 22
나. 과정중심평가 및 일체화 효과성 연구 27
다. 실생활과 연계한 수학에 대한 선행연구 34
4. 학생중심수업 및 과정중심평가 52
가. 학생중심수업 52
나. 과정중심평가 58
Ⅲ. 연구 방법 67
1. 일체화 현장 도입에 대한 교사 인식 70
가. 연구 절차 70
나. 연구 대상 73
다. 연구 도구 75
라.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75
2. 일체화 적용사례 81
3. 일체화 적용 검증을 위한 적용 방법 84
가. 연구 절차 84
나. 연구 대상 86
다. 연구 도구 88
라.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90
Ⅳ. 일체화에 대한 교사 인식조사 92
1. 일체화 실천에 대한 교사 인식 92
가. 일체화 실천에 대한 교사 동기 92
나. 일체화 실천 후 변화된 부분 96
다. 일체화 실천 시 어려운 점 101
라. 해결방안 106
2. 일체화를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111
가.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분석 111
나. 교육과정 재구성 시 어려운 점 114
다. 해결방안 117
3. 일체화를 위한 학생중심수업 120
가. 학생중심수업에서의 중요한 점 120
나. 학생중심수업 시 어려운 점 124
다. 해결방안 126
4. 일체화를 위한 과정중심평가 132
가.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교사들의 노력 133
나. 과정중심평가 시 어려운 점 140
다. 해결방안 142
5. 일체화를 위한 성장중심기록 147
가. 성장중심기록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 148
나. 성장중심기록 시 어려운 점 150
다. 해결방안 154
6. 교사 인식조사를 반영한 일체화 적용 사례 157
가. 일체화 모형 재설정을 위한 교사 인식 분석 157
나. 일체화 적용을 위한 모형 재설정 159
다. 실생활과 연계한 교육과정 재구성 162
라. 실생활과 연계한 학생중심수업 169
마. 과정중심평가와 성장중심기록 적용 예시 173
7. 일체화 적용 사례 분석 179
가.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이 정의적 영역(외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182
나.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이 정의적 영역(내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184
다.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이 수학학습성향에 미치는 효과 185
라.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의 효과 186
Ⅴ. 결론 및 제언 189
1. 연구요약 189
가. 일체화에 대한 교사 인식조사 190
나. 일체화 적용사례 194
2. 결론 197
3. 제언 201
참고문헌 20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