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과 중국의 사대부 애정시가 비교연구 : 조선 후기와 明·淸 교체기 시인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고는 조선 후기와 明·淸 교체기의 사대부 작품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 구체적으로는 한국의 이정보(李鼎輔)와 이세보(李世輔)의 시조들, 중국의 朱彛尊과 納蘭性德의 詞 작품들을 비교 분석했다. 한국의 시조와 중국의 詞를 살펴보면 ‘애정’은 매우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져왔고, 조선과 明·淸 사대부의 애정시조와 愛情詞는 내용적인 면에서 공통성이 있지만, 서로 매우 다르게 전개되었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유사한 사상이나 제도 아래에서의 사대부 계층은 같은 애정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서로 면모를 보이고 있다. 이 논문은 비교문학적인 관점에서, 이 두 시가가 어떻게 달리 발전해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한국의 시조와 중국의 詞과에서 애정이라는 주제가 어떤 배경 속에서 수용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양국이 모두 배경으로 하는 유학적 전통 속에서 남녀 간의 감정을 노래하는 시가가 어떻게 자리 잡게 되었는가를 살핌으로써 이후에 논의될 조선 후기 애정시조와 明淸 교체기의 愛情詞에 나타나는 특징들을 분석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조선 후기 사대부 애정 시조의 대표적인 시인 이정보와 이세보의 애정시조 작품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장에서의 논의를 통해 이정보와 이세보의 애정시조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통속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내용을 중심으로 볼 때 이들이 지은 애정시조에는 남녀 간의 그리움이나 상대에 대한 성적인 욕망 등 일반적으로 통속적이라고 할 만한 것들이 담겨져 있다. 즉 대중들에게 쉽게 통할 수 있는, 익숙한 것을 보여줌으로써 대중의 공감을 이끌어 내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明· 淸 교체기 朱彛尊과 納蘭性德의 愛情詞를 분석하였다. 이들은 전통적으로 詞가 주된 소재로 삼았던 애정의 문제를 작품에 드러내면서도 이전과는 다른 방향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朱彛尊과 納蘭性德의 작품은 대체로 자신들의 개인적 체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불우한 애정 관계를 비극적으로 그려냈다. 사회적 금기와의 대립이나 거듭된 사랑의 실패로 인한 슬픔을 담고 있는 것이 이들 작품의 특징이다. 이 장에서는 작품에 드러나는 비극성을 중심으로 이들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조선후기의 애정시조와 明·淸 교체기 愛情詞로서 대표성을 갖는 이들 작품이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 이유를 한국과 중국의 문학사적 흐름과 연결하여 설명했다. 조선 후기의 시조와 明·淸 교체기의 詞은 다른 방식으로 향유되었다는 점 등이 이들의 작품에 특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정보와 이세보 시조에 나타나는 통속적인 모습은 시조를 향유하는 공간의 도시적 유흥성이 강화되는 시조사의 변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淸초에 들어서면서 詞의 성격이 변화가 생기고 유흥의 기능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朱彛尊과 納蘭性德의 愛情詞가 개인적 체험을 드러내는 수단이 된 이유를 설명해 준다. 조선과 明·淸 사대부의 애정시조와 愛情詞는 애정을 주제로 하였다는 면에서는 공통점이 있지만, 작품에 형상화된 애정의 실체와 작품에 나온 특성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비교문학적인 관점에서 이 두 가지 갈래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비교한 것은 이 논문의 성과라 할 수 있다.

more

목차

I.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사 검토 6
3. 연구 대상 및 방법 16
II. 시조와 詞에서의 애정 주제 수용의 배경 23
1. 시조에서의 애정 주제 수용 배경 23
2. 詞에서의 애정 주제 수용 배경 33
III. 조선 후기 이정보와 이세보 애정시조의 통속성 40
1. 이정보의 애정시조에 나타난 그리움과 성적 욕망 40
1) 임의 부재에 대한 그리움 41
2) 성적 욕망의 긍정과 표출 46
2. 이세보의 애정시조에 나타난 풍류와 감각성 54
1) 유흥 공간을 배경으로 한 풍류적 애정 55
2) 감각적으로 표현된 상사의 마음 63
IV. 明·淸 교체기 朱彛尊과 納蘭性德의 愛情詞의 비극성 68
1. 朱彛尊의 愛情詞에 나타난 사랑의 슬픔 68
1) 금기된 사랑의 괴로움 69
2) 규방 여성의 비애감 79
2. 納蘭性德의 詞에 나타난 사랑의 고통 84
1) 사랑의 거듭된 실패로 인한 좌절감 84
2) 배우자와의 사별에 대한 비통함 92
V. 조선후기와 明·淸 교체기 애정시가의 문학사적 의의 97
1. 시조 연행 공간의 변모와 애정시조의 통속지향성 97
2. 詞 향유 주체의 축소와 愛情詞의 비극지향성 102
VI. 결론 108
<참고문헌> 111
<中文摘要> 11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