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기능과 학교 적응의 관계에서 적응 유연성 및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abilit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chool Adapta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전환기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가족의 기능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적응 유연성과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내 3개 시(S시, S시, Y시)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가족의 기능, 적응 유연성, 사회적 지지, 학교 적응, 인구통계학적 정보에 대한 자기보고 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배부한 419부 중 미회수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32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통하여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 신뢰도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Process Macro for SPSS(ver 3.5) 6번 모델을 통한 순차적 매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기능, 적응 유연성, 사회적 지지, 학교 적응은 모두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각 변인이 상호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기능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 유연성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이 가족을 기능적인 것으로 지각할수록 적응 유연성이 높고 이것이 학교 적응을 높임을 시사한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기능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이 지각한 가족 기능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증가하여 학교 적응이 높아짐을 시사한다. 넷째, 적응 유연성과 사회적 지지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기능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왔다. 이는 가족의 기능이 높은 아동이 적응 유연성을 가지게 되며, 이를 통하여 높은 사회적 지지를 받고 이에 학교 적응을 잘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상담 현장에서 학생을 문제적 관점이 아닌 강점 관점으로 바라 봄으로써, 적응 유연성에 대해 인식하고 강조함으로써, 개개인에게 맞는 상담 및 집단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또한 학교 내 교사와 또래의 사회적 지지망 구축을 강조함으로써, 다양한 지지체계를 통하여 학생들의 원만한 학교 적응을 돕는 근거 자료로 활용 되기 기대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9
1. 가족의기능 9
2. 적응 유연성 12
3. 사회적 지지 15
4. 학교 적응 17
5. 변인간 관계 20
Ⅲ. 연구 방법 25
1. 연구 대상 25
2. 측정 도구 25
3. 분석 방법 29
Ⅳ. 연구 결과 31
1. 주요 변인의 기술 통계 31
2.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32
3. 주요 변인의 매개 효과 33
Ⅴ. 논의 및 결론 36
1. 요약 및 논의 36
2. 결론 및 제언 38
참고문헌 4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