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은퇴자 주거이동에 관한 연관성 분석 : 자연보전권역으로의 이동패턴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고령사회 진입과 기대수명 증가에 따라 노인인구가 증가함에도 은퇴자의 전·출입 인구이동에 관한 최근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자연보전권역으로의 은퇴자 인구이동 패턴을 분석하여 향후 공공부문 주거복지와 민간부문 주거지 개발의 주요 기초자료로써 활용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2019년을 기준으로 최근 10년(2009년, 2014년, 2019년), 5년 코호트 은퇴자 연령대(65세~69세)의 이동 통계자료를 내용적 범위로 한정하고 전국 229개 시·군·구 도시의 전출인구가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자연보전권역을 전출 대상으로 하는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부동산 상권분석 중 하나인 CST(고객 배치기법)를 활용하여 자연보전권역으로의 은퇴자 연령대(이후‘은퇴자 인구’라 함) 전출인구 이동의 영향력 지수와 연관성 지수를 산출하고 GIS의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도시들의 영향력, 연관성과 시간적 변화 등을 시각화하여 표현함으로써 인구이동 패턴을 유형화하고 특성을 도출하는 것으로 차별화했다. 연구결과 지방보다 수도권 인접 도시에서 자연보전권역으로 은퇴자 인구이동이 뚜렷하였고 자연보전권역 내 특정 도시로의 전입이 유형화된 패턴을 보였다. 향후 인구이동의 원인과 이유에 대한 설문 등 통계적 검증으로 인과관계를 연구하여 도시 및 지역개발수립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2
1. 연구범위 2
2. 연구방법 7
제3절 연구절차 8
제2장 이론적 고찰 10
제1절 이론적 배경 10
1. 인구이동의 지역 간 영향력 및 연관성 10
2. 영향력 및 연관성 지수 사분면 정의 11
3. 소비자분포기법(CST) 개념과 기법의 적용 12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3
1.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은퇴자 주거 공간이동 13
2. 영향력 지수와 연관성 지수 선행연구 분석 15
제3절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7
제4절 연구방법 18
제3장 자연보전권역 현황 20
제1절 자연보전권역의 입지특성 20
1. 상위법규 및 규제사항 20
2. 자연보전권역 입지특성 25
제2절 자연보전권역 시·군 현황 26
제4장 실증분석 30
제1절 분석자료 30
제2절 은퇴자 주택유형 및 개발현황 32
1. 연도별 자연보전권역의 은퇴자 거처 주택유형 32
2. 남양주시와 용인시 주요 주택개발사업 현황 37
제3절 은퇴세대 전입 현황 43
1. 자연보전권역으로의 전국 도시별 전출현황 43
2. 전국 은퇴 세대 인구이동 현황 46
3. 자연보전권역 내 시·군 간 은퇴 세대 인구이동 현황 49
제4절 실증분석 결과 50
1. 자연보전권역 인구이동 유형 및 공간적 분포특성 (2009년) 50
2. 자연보전권역 인구이동 유형 및 공간적 분포특성 (2014년) 52
3. 자연보전권역 인구이동 유형 및 공간적 분포특성 (2019년) 55
제5장 결 론 59
제1절 연구의 요약 59
제2절 연구의 시사점 61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62
참고문헌 6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