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지역사회 성인에서 근감소증과 대사증후군의 관계

초록/요약

지역사회 성인에서 근감소증과 대사증후군의 관계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성인의 근감소증과 대사증후군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S보건소의 대사증후군센터를 내소한 만 20세부터 64세 146명을 대상으로 2019년 8월 26일부터 10월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근감소증은 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2019)에서 제시한 지역사회 근감소증평가핵심지표인 골근육량과 악력으로 측정하였다. 대사증후군은 US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2001)에서 제시한 5가지 구성요소를 신체계측과 혈액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연구목적 및 측정변수의 척도수준에 따라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목적에 따른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8.15세로 여자는 65.8%로 많았다. 근감소증 유병률은 전체 28.8%이었으며, 여성(85.7%)이 남성(14.3%)보다 약 6배 높았다. 근감소 지표가운데 골격근량 감소비율도 여성(26.0%)이 남성(10.0%)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대상자의 중년층 연령군(50-64세)의 근감소 유병률이 66.7%로 젊은연령군(20-49세)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했다(p<.001). 2.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전체 30.8%로, 여성(68.9%)이 남성(31.1%)보다 2배 이상 높았으나,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에서 고혈압은 남성(62.0%)이 여성(43.8%)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대상자의 중년층 연령군(50-64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80%로 젊은연령군(20-49세)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했다(p<.001). 또한 과거 대사증후군 진단을 받았던 집단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73.3%로 높았다(p<.001). 3. 근감소증과 대사증후군의 상관분석에서 골격근량과 악력은 허리둘레와 고밀도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s <.001). 근감소증과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교차분석후 세 집단으로 분류 했을 때, 분포는 각각 20.6%(대사증후군이 없는 근감소군), 30.8%(대사증후군), 48.6%(정상군)이었다. 세 집단간 근감소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차이분석에서 골근육량과 악력은 대사증후군은 정상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1). 체지방은 대사증후군이 정상군보다 높고, 허리둘레는 대사증후군이 근감소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이상에서 지역사회 거주 성인의 대사증후군 대상자는 근육량과 근력이 낮아 근감소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 대사증후군 관리에서 근감소 위험을 위한 일차평가 및 근육량과 근력 관리를 위한 근력강화운동 및 중재전략개발연구를 제언한다. 그러나, 근감소증과 대사증후군의 인과성 규명을 위해서는 종단적 연구 및 근감소증 진단기준 표준화가 필요하다. 핵심어: 근감소증, 대사증후군, 지역사회성인, 골격근량, 악력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지역사회 대상자의 근감소증 위험 7
B. 근감소증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12
Ⅲ. 연구방법 16
A. 연구 설계 16
B. 연구대상자 16
C. 연구 도구 17
D. 자료 수집 방법 19
E. 윤리적 고려 19
F. 자료 분석 방법 20
Ⅳ. 연구결과 21
A.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1
B. 근감소 23
C. 대사증후군 27
D. 근감소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31
Ⅴ. 논의 37
Ⅵ. 결론 및 제언 42

참고문헌 43
부록 55
영문초록 7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