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traightforward static HS-GC-MS metho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lass 2 and 3 residual solvents in pharmaceutical products

초록/요약

유기용매는 의약품의 합성, 생산, 제제화 과정에서 의약품에 포함될 수 있다.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 때문에, 잔류용매는 독성, 의약품 유형 및 일일 용량에 따라 제한된다. 잔류용매에 대한 일반 시험은 현재 의약품 공정서에서 수재되어 있지만, 이 방법은 매우 복잡하고 많은 시간을 소요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친숙하지 않다. 본 연구의 목표는 헤드스페이스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잔류용매에 대한 신뢰성 있고 편리한 검사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다. Class 2와 Class 3의 용매는 VF-624ms 및 VF-WAXms칼럼에 대한 적합성에 따라 2개군으로 재편성되었으며, 각각 분석법 A와 분석법 B로 개발되었다. 분석법 A는 표준물질과 검체를 녹이는 용매로 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였고, 분석법 B는 dimethylformamide를 사용하였다. HS의 추출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NH4)2SO4 용액을 사용하였다. 실험계획법 (DoE)을 이용하여 염의 농도, 추출 용매의 부피 및 평형 시간이 HS 추출 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개발된 방법은 ICH 가이드라인 Q2(R1)에 따라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을 검증하였다. 확립된 방법은 Dexlansoprazole, rabeprazole, metformin 과 각각의 정제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확립된 방법은 신뢰성이 높고 간결하므로, 향후 제약사의 신약개발 및 품질관리를위한 잔류용매 시험법으로 유용할 것이다

more

목차

I. 서론 1
1. 의약품 중 잔류용매 1
1.1. 독성 및 분류 1
1.2. 의약품 중 잔류용매 분석의 최신동향 2
2. 연구 목적 6
II. 실험 7
1. 시약, 시액, 검체 및 기기 7
1.1. 표준품 및 시약 7
1.2. 검체 9
1.3. 기구 및 기기 10
2. 분석 방법 개발 11
2.1. GC 칼럼 적합성 평가를 통한 분석 대상 용매의 선정 11
2.2. 내부표준물질 선정 11
2.3. HS 추출 효율 향상을 위한 염 수용액의 선정 12
2.4. DoE를 이용한 HS 추출 주요 요인의 확인 12
2.5. HS 추출시간 최적화 18
3. Method A (VF-624ms 방법) 18
3.1. 3 M (NH4)2SO4 용액의 조제 18
3.2. 내부표준액의 조제 18
3.3. 표준액의 조제 19
3.4. 검액의 조제 23
3.5. HS 분석용 표준액 및 검액의 조제 (20-mL HS vial) 23
3.6. HS-GC-MS 분석 조건 24
4. Method B (VF-WAXms 방법) 27
4.1. 3 M (NH4)2SO4 용액의 조제 27
4.2. 내부표준액의 조제 27
4.3. 표준액의 조제 28
4.4. 검액의 조제 32
4.5 HS 분석용 표준액 및 검액의 조제 (20-mL HS vial) 32
4.6. HS-GC-MS, HS-GC-FID 분석 조건 33
5. 분석법 밸리데이션 36
5.1. 직선성 36
5.3. 정확성 및 정밀성 36
6. 실제 의약품 시료의 적용 및 회수율 평가 37
III. 결과 및 고찰 37
1. 방법 별 분석 대상 물질의 선정 37
1.1. Class 별 대한민국약전 잔류용매 시험 분석 결과 37
2. Method A의 개발 45
2.1. 내부표준물질 선정 45
2.2. 분석시간 최적화 45
2.3. 염수용액의 선정 45
2.4. DoE 46
2.5. HS 추출시간 최적화 48
3. Method B의 개발 49
3.1. 내부표준물질 및 SIM 분석을 위한 이온 설정 49
3.2. 분석시간 최적화 49
3.3. 염수용액의 선정 49
3.4. DoE 50
3.5. HS 추출시간 최적화 52
4. 분석법 밸리데이션 결과 53
4.1. Method A의 밸리데이션 결과 53
4.2. Method B의 밸리데이션 결과 59
IV. 결론 66
V. 참고문헌 6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