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교사의 고학년 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Classroom Guidance Experience of Teacher for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록/요약

본 연구는 고학년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여러 경험들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의 극복 및 대처 과정을 탐색하여 교육적 의미를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1) 초등 고학년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핵심적인 생활지도 경험은 무엇인가? 2) 초등 고학년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생활지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은 무엇인가? 3) 초등 고학년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생활지도의 어려움과 위기를 어떻게 대응하고 해결하는가? 이며 연구의 수행 방법은 Strauss와 Cobin(1998)이 제안한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수도권 소재 공립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력 4년 이상 ~ 경력 30년 이하의 초등교사 12명이며 이들은 최근 5년 이내에 5~6학년 지도 경험 및 담임 이력을 지니고 있고 현재 적응적으로 근무하는 교사이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 선정의 준거 내에서 ‘이론적 표본 추출 방법(theoretical sampling)’방법을 통해 연구 참여자를 추출해나갔으며, 이론적 표본 추출은 모든 범주가 포화 되었다고 판단할 때까지 지속 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한 심층 면접은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 약 세 달여간에 걸쳐 시행되었고 각 면접은 약 40분 ~ 7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참여자가 희망하는 장소에 직접 방문 후 진행하였다. 면접 시작 전, 면접 내용 녹음에 관한 동의를 구했으며 면접의 전 과정을 녹음한 뒤 전사하여 활용하였다. 이후 근거이론의 절차에 의거하여 자료 수집과 동시에 분석작업을 시행하였다. Strauss와 Cobin(1998)이 제안한 자료분석 방법에 따라 첫 과정으로 개방코딩을, 이후 축코딩 단계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과 과정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택코딩 단계에서는 이야기 개요(story line)짜기를 통해 전체 연구결과를 한편의 이야기로 서술해본 후,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중재적 조건을 형성하는 각 범주의 속성과 차원에 따라 관계를 정형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고, 이후 각 범주 간에 유사한 패턴과 관계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성을 파악하여 유형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개방 코딩 과정에서 총 165개의 개념, 52개의 하위 범주, 19개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축코딩의 결과로서 초등교사의 생활지도 어려움을 통한 극복 및 대처 과정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패러다임 모형의 중심현상은 다양한 생활지도의 어려움으로 인해 참여자들이 겪은 여러 심리적 증상 및 고통으로 드러났다. 중심현상의 하위 범주로는 ‘심리적 소진 상태가 됨, 내 탓이라는 생각으로 괴로움, 타인의 평가가 걱정됨, 상처를 받음, 학생 훈육방식의 혼란과 불안, 온기로 남아있는 학생에 대한 애정, 오랜 신념이 흔들림’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증상은 추후 변화와 발전을 위해 필히 겪을 수밖에 없는 통증으로 비유하여 ‘성장통을 앓음’으로 명명하였다. 중심현상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초등 고학년 지도 교사들이 겪은 생활지도 어려움의 다양한 요인들로 확인되었다. 이는 ‘교육 활동 침해 행위에 대응하기, 위기 학생 개입하기, 이상행동을 보이는 학생 다루기, 학교폭력 사안 처리하기, 고학년의 특수성 받아들이기’와 같은 하위 범주들로 구성되어 있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학생과 관련된 가정요인, 학교요인, 교육제도 및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었다. 이는 ‘학생들의 열악한 가정환경, 학교 현실의 벽, 답답한 교육 현실’이라는 3가지 범주로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 및 방해를 조절하는 중재적 조건은‘긍정의 힘이 일으켜 세움, 지지적 관계에서 힘을 얻음, 고립과 갈등 속에 갇힌 관계’라는 3가지 범주로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조건들은 함께 어우러져 참여자들의 경험과 어려움 극복, 성장 과정에 영향을 주었다. 중심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다음의 범주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고학년 생활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현실과 마주하기’,‘성찰하기’,‘ 학생을 마음으로 품어주기’,‘학생 가정 테두리 안으로 이해의 마음을 넓히기’,‘효과적인 학생지도 전략 사용하기’,‘도움받기’,‘개인 내적 치유를 위해 노력하기’라는 의도적 행위 및 전략을 통해 중심현상을 해결하고자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략을 수행한 결과, 이들은 인간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교육의 본질에 집중하는 등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기도 하였으나 여러 한계를 절감하거나 심리적 상흔(傷痕)이 남는 등 정체 및 퇴행의 현상들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는 ‘교육의 본질에 다가섬’,‘학생에 대한 인간 존중의 관점을 성찰함’,‘미해결된 감정 과제가 남음’의 3가지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지도의 어려움에 직면하여 이를 극복하고 성찰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행한 노력 전반과 발전적인 변화 전체를 ‘교사의 성장’이라고 정의하였다. 과정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고학년 생활지도 어려움에 관한 대처 과정은 ‘쓰라림 단계’, ‘돌아봄 단계’, ‘애씀 단계’, ‘깨달음 단계’, ‘내딛음 단계’의 총 5단계로 나타났다. <쓰라림 단계>는‘성장통을 앓음’이라는 중심현상을 경험하면서 이를 현실로 직면하는 단계이다. <돌아봄 단계>는 심한 성장통을 앓고, 이러한 현실에 직면하여 위태롭게 버티다가 내적 성찰을 경험하는 단계이다. <애씀 단계>는 중심현상에서 벗어나고 상황을 개선 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전략과 노력의 행위들이 집중적으로 이뤄지는 단계이다. <깨달음 단계>는 애씀 단계에서의 수많은 노력과 개선 시도 끝에, 학교와 관련한 삶 전반에 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통찰이 이뤄지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내딛음의 단계>는 깊이 있는 이해와 통찰 과정을 겪어낸 이후, 보다 숙련되고 원숙한 모습으로 나아가기 위한 착수(着手)의 과정을 지칭한다. 선택 코딩에서 핵심범주는 ‘생활지도의 어려움으로 인한 성장통을 앓다가, 성찰과 깨달음을 통해 교사 성장의 길로 들어섬’으로 나타났으며, 각 범주 간에 유사한 패턴과 관계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성을 파악하여 유형 분석을 진행한 결과 ‘적응적 실천형’, ‘긍정적 성찰형’, ‘제한적 성찰형’, ‘소극적 대처형’의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이 겪는 생활지도의 어려움을 ‘생생한’ 현장 속 진술을 담아 파악하여 실증적 방법을 통해 체계화하고 이를 이론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중심현상 대응에 관한 대처 및 전략적 정보는 학생 생활 지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현장의 많은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과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는 생활지도로 지친 교사들을 위한 심리 상담학적 개입과 맞춤형 지원체계 수립에 실증적인 근거 자료를 제공해주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넷째, 생활지도와 소진의 단선적 관계를 다룬 기존 연구에서 ‘어려움 대처 과정과 성장’으로 관점을 확대하여 탐색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생활지도 어려움에 관한 교사의 대처 과정과 관련하여 교사 및 상담자, 후속 연구 및 정책지원에 도움이 되는 사항을 교육 상담학적 개입 방안과 관련하여 제언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arious experiences related to the guidance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teaching upper grade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educational meaning by explor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difficulties during the guidance process and teacher's growing.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1) What is the core guidance experience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teaching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2) What are the conditions that affect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life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teaching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3) How do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teaching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respond to and solve the difficulties and crises of guidance? The method of the study wa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proposed by Strauss and Cobin (1998). The participants were 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orked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more than 4 years of experience and less than 30 years of experience). They had experience in teaching and as a homeroom teacher for 5th and 6th grade students within the last 5 years and are currently working adaptively. The participants were extracted through the theoretical sampling method within the criteria of selecting participants, and the theoretical sampling continued until all categories were saturated. In-depth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for about three months from May to July 2020. Each interview took about 40 to 70 minutes and were conducted after visiting the place where the participants wanted to visit. Before the interview, I asked for consent to the interview recording, and recorded the entire process of the interview and then transcribed it. After tha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ork were performed based on the procedures of the grounded theory. The first step was open coding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bin (1998), and then category analysis and process analysis by paradigm were performed in the axial coding stage. Next, in the selective coding stage, the whole research result was described as a story through story line, and then the core category was derived. Finally, the study performed the work of formalizing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roperties and dimensions of each category forming the intervening conditions centered on the core category, and then the typ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grasping the tendency of the similar patterns and relationships repeatedly appearing between each categ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a total of 165 concepts, 52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were derived during the open cod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process analysis, the growth process through the difficul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guidance was shown to be 5 steps in total: 'Painfulness', 'Reflection', 'Struggle', ‘Enlightenment', and ’Entering the path of growth'. In the selection coding, the key category was ‘After suffering from the growth pain caused by the difficulty of guidance, entering the path of teacher growth through reflection and enlightenment’. The analysis of the types by grasping the tendency of repeated patterns and relationships between each category was derived into four types: ‘adaptive practice type’, ‘positive reflection type’, ‘limited reflection type’, and ‘passive coping typ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organized and theorized the difficulties of guidance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empirical methods by identifying the statements in the field of 'live'. Second, it is expected that the coping and strategic information on the response to the central phenomenon will be a practical help and guideline for many teachers in the field that play a role in student guidance. Third,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intervention and establishment of customized support system for teachers who are tired of guidance. Four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the existing study on the single-line relationship between guidance and burnout expanded the perspective to 'teacher's growth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for teachers and counselors, follow-up research and policy support in relation to the growth process of teachers through difficulties in guidance were suggested in relation to educational counseling intervention plans.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생활지도의 개념 7
B. 생활지도의 영역과 방법 13
C. 초등 고학년 학생의 특성과 생활지도 17
Ⅲ. 연구방법과 절차 21
A. 연구방법 21
1. 근거이론의 개요 21
2. 근거이론의 분석 절차 22
B. 연구 절차 25
1. 연구 참여자 선정 26
2. 연구자에 대한 정보 30
3. 자료 수집 31
4. 자료 분석 36
5. 연구의 타당성 검증 42
Ⅳ. 연구결과 48
A. 자료의 범주화 결과 48
B. 초등교사의 고학년 생활지도 어려움에 관한 대처 과정 : 범주 분석 54
1. 인과적 조건 54
2. 중심현상 67
3. 맥락 80
4. 중재적 조건 90
5. 작용/상호작용 100
6. 작용/상호작용의 결과 129
7. '초등교사의 고학년 생활지도 어려움에 관한 대처 과정'패러다임 모형 146
C. 초등교사의 고학년 생활지도 어려움에 관한 대처 과정 : 과정 분석 150
D. 초등교사의 고학년 생활지도 어려움에 관한 대처 과정 : 범주의 통합과 이론화 159
1. 이야기의 개요와 핵심범주 159
2.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진술 164
3. 유형분석 169
Ⅴ. 논의 179
A. 초등 고학년 교사들의 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논의 179
B. 생활지도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에 관한 논의 185
C. 교사들이 생활지도 어려움을 대처하는 과정에 대한 논의 190
Ⅵ. 연구의 의의 및 제언 195
A. 연구의 의의 195
B. 제언 196
1. 학교를 구성하는 교육공동체를 위한 제언 196
2. 상담학적 개입을 위한 제언 199
3.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203
참고문헌 205
부 록 217
Abstract 22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