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말기암환자 가족의 미충족 요구와 삶의 질

초록/요약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에 입원 중인 말기암환자 가족의 미충족 요구와 삶의 질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에 입원 중인 말기암환자의 가족 117명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24일부터 2020년 10월 17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미충족 요구는 Shin 등(2011)이 개발한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tool for cancer-caregivers 도구로 측정하였고, 삶의 질은 세계보건기구(1994)에서 개발하고 민성길 등(2000)이 수정·보완한 한글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분석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Enter mu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미충족 요구 정도는 평점평균 1.57±0.66(총점 64.36)이고, 영역별로는 의료진 관련 요구(2.02±0.86)와 정보·교육적 요구(1.80±0.77)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삶의 질 정도는 총점평균 80.49±17.48이었으며, 하위영역은 환경 영역(3.17±0.72), 심리적 영역(3.10±0.82), 신체적 건강 영역(3.08±0.78)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t=2.26, p=.026), 종교(t=2.78, p=.006), 주변으로부터 받는 지지(F=12.77, p<.001), 치료비의 경제적 부담감(F=9.03, p<.001), 지각된 건강상태(F=28.52,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미충족 요구와 삶의 질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26, p=.005)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미충족 요구(β=-.15, p=.039), 지각된 건강상태-좋음(β=.52, p<.001), 지각된 건강상태-보통(β=.39, p<.001), 주변으로부터 받는지지-높음(β=.34, p=.015), 치료비의 경제적 부담감(β=.20, p=.009)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의 총 설명력은 43%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에 입원 중인 말기암환자 가족의 미충족 요구와 삶의 질이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충족 요구, 지각된 건강상태, 주변으로부터 받는 지지, 치료비의 경제적 부담감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충족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5
A.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 5
B. 말기암환자 가족의 미충족 요구 8
Ⅲ. 연구방법 12
A. 연구설계 12
B. 연구대상 12
C. 연구도구 13
D.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4
E. 윤리적 고려 15
F. 자료분석방법 15
Ⅳ. 연구결과 16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B. 연구대상자의 미충족 요구와 삶의 질 정도 19
C.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점수 차이 22
D. 연구대상자의 미충족 요구와 삶의 질 간의 관계 25
E.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6
Ⅴ. 논의 28
Ⅵ. 결론 및 제언 34
A. 결론 34
B. 제언 35
참고문헌 3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