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Infant Health Promotion Behavior Improvement Program for Mother

초록/요약

본 연구는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를 위한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 지식,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과 영아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7월 15일부터 2020년 9월 7일 까지 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B시와 G시에 소재한 여성병원 소아청소년과를 방문한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로 실험군 17명과 대조군 17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실험군에는 영아건강증진을 위한 어머니 역할강화 프로그램을 총 4주에 걸쳐 1회기의 집합 교육과 7회기의 온라인 교육을 제공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지역을 달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사전조사, 사후조사, 추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아건강증진 지식은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양육스트레스는 Abidin & Richard(1990)이 개발한 척도를 우리나라에 맞도록 이경숙 (2008)이 수정하고 표준화한 한국형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 축약형 (PSI- SF)도구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 (1985)이 개발한 도구를 윤혜정(1993)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은 Parker와 Zahr(1985)가 개발한 자가보고식 측정도구인 모성자신감척도 (Ma -ternal Confidence Questionnaire)를 채선미(2001)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 하였다. 영아건강증진행위는 김신정 외(2007)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연구대상자의 자녀 관련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검정은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어머니 역할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영아건강증진 지식이 증가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F=22.91, p<.001) 제 1 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 2 가설: “어머니 역할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F=29.93, p<.001) 제 2 가설은 지지되었다. 3. 제 3 가설: “어머니 역할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사회적 지지가 증가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F=27.64, p<.001) 제 3 가설은 지지되었다. 4. 제 4 가설: “어머니 역할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이 증가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F=8.25, p=.005) 제 4 가설은 지지되었다. 5. 제 5 가설: “어머니 역할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영아건강증진행위가 증가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F=16.85, p<.001) 제 5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연구자가 개발한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은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 지식을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낮추며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을 향상시켜 영아건강증진행위를 강화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andura의 자기효능 이론에서 제시한 자기효능 원천을 강화 전략으로 반영한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은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에 효과적인 중재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more

목차

I. 서론 14
A. 연구의 필요성 14
B. 연구의 목적 17
C. 연구가설 17
D. 용어의 정의 18
II. 문헌고찰 21
A. 어머니의 자녀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21
B. 어머니 대상 자녀 건강증진 프로그램 고찰 25
III. 개념적 기틀 28
Ⅳ. 연구방법 31
A.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개발 31
B.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효과 검정 41
Ⅴ. 연구결과 55
A.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 55
B.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검정 61
Ⅵ. 논의 71
A. 연구의 제한점 76
B. 연구의 의의 77
Ⅶ. 결론 및 제언 78
A. 결론 78
B. 제언 79
참고문헌 80
부록 90
ABSTRACT 10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