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라벤더 꽃과 에센셜오일의 향기 분석 및 재현 연구

초록/요약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는 우수한 향기와 다양한 피부 효능 효과가 입증되어 에센셜오일로 활용범위가 넓은 허브식물이지만 대부분 수입에 의존되고 있어 국내 재배 허브 식물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방향 성분에 대해 연구하였다. 국내 라벤더의 향기 독창성을 찾고자 종래의 화장품 산업에 널리 사용 되어 온 라벤더 에센셜오일과 국내 재배 라벤더의 향기 성분을 비교분석 하였으며, 라벤더 에센셜오일은 원산지 프랑스의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해낸 형태이며 국내 재배 라벤더는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북삼리에 재배 중인 원물을 이용하였다. 두 시료 중 라벤더 에센셜오일은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 으로 온도에 의한 전 처리를 거친 상태이지만 라벤더 꽃은 시료의 전 처리 공정 없이 원물 그대로의 향기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포집하는 휘발성 물질 분석에 효과적인 SPME(solid-phase micro extraction) 방법을 거쳐 GC-MS 로 구성성분을 분석해냈다. 그 결과 동일한 식물 종 임에도 불구하고 시료의 형태나 재배 환경에 따라 향기 구성 성분이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26가지 알러젠(allergens) 성분의 종류와 함량에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분석을 통해 재현해낸 향기와 라벤더 꽃 원물의 향기 유사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조향 실험을 거쳐 완성된 라벤더 꽃 재현향을 패널을 통해 유사성이 가장 높은 조성물을 선정하였으며, 이는 시행한 선호도 평가로 라벤더 에센셜오일보다 향기 기호성이 높음을 입증 하였다. 그 결과 국내 재배 라벤더 꽃 재현향이 종래의 산업에 널리 이용 되어져 온 라벤더 에센셜오일보다 향기의 기호성이 높고 함유된 알러젠의 종류와 함량이 현저히 낮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재배 허브 중 하나인 라벤더 꽃의 향기 구성성분을 밝혀 내고 이를 재현 시 라벤더 에센셜오일보다 알러지 반응에 기인될 수 있는 성분과 함량을 낮출 수 있으며 국내 소비자들에게 향기의 기호성이 높은 국내 재배 라벤더 꽃 향기를 제공할 수 있음이 확인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A. 라벤더 효능과 향기 1
B. 천연 향료의 향기 분석 2
C. 연구 목적 5
Ⅱ. 실험 재료 및 연구 방법 7
A. 실험 재료 7
B. 연구 방법 7
1. SPME/GC-MS 을 이용한 향기 분석 7
2. 라벤더 꽃 향기 재현 조향 실험 9
3. 관능 평가 9
Ⅲ. 결과 및 고찰 11
A. 향기 성분 분석 11
1. 라벤더 꽃의 SPME/GC-MS 성분 분석 11
2. 라벤더 에센셜오일의 SPME/GC-MS 성분 분석 13
B. 구성성분 및 알러젠 함량 비교 15
1. 라벤더 꽃과 에센셜오일의 향기 성분 비교 15
2. 라벤더 꽃과 에센셜오일의 알러젠 성분 및 함량 비교 17
C. 국내 재배 라벤더 꽃의 향기 재현 조향 19
D. 관능 평가 23
1. 패널을 이용한 라벤더 꽃 향기 재현향의 유사성 평가 23
2. 패널을 이용한 라벤더 꽃 향기 재현향의 선호도 평가 24
3. 패널을 이용한 라벤더 꽃 향기 재현향과 에센셜오일의 선호도 평가 25
Ⅳ. 결론 26
Ⅴ. 참고문헌 2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