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C2C12 근육세포에서 MS-275에 의한 지방독성 회복 효능 및 기전연구

Protective effects and mechanisms of MS-275 on lipotoxicity in C2C12 myocyte

초록/요약

비만은 지방이 체내에 과도한 지방축적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며, 비만은 내당능이상, 고지혈증, 고혈압 등의 다른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동반하며, 지방과다증, 이상지질증, 인슐린저항성 및 지방간과 같은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히스톤디아세틸라제 억제제는 히스톤과 비 히스톤 단백질의 탈 아세틸 화를 억제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서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항암, 항 비만 및 항 당뇨 효과는 물론 심혈관 보호 활동이 포함되는데 MS-275는 HDAC3 억제제에 속하는 약물이며, 갈색지방 조직 인자를 증가시켜 활성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MS-275가 C2C12 근육세포 및 골격근 조직의 지방독성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독성 조건인 즉, 팔미트산 처리된 C2C12 근육세포에서 MS-275의 지방산 독성 억제 효과를 조사했다. C2C12 근육세포에 팔미트산 처리는 HDAC3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과 인슐린 저항성도 증가시켰다. 대조적으로, MS-275를 처리한 C2C12 근육세포는 팔미트산의 독성으로 유발되는 인슐린 저항성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증가를 억제하였다. 또한, C2C12 근육세포에서 MS-275 약물을 단독으로 농도별 처리했을 때 미토콘드리아의 바이오제네시스를 조절하는 PGC1-α와 포도당 수송체인 GLUT4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MS-275가 지방독성에 의한 C2C12 근육세포의 보호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MS-275는 근육세포에서 염증완화 및 인슐린 저항성 치료에 효과적 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연구 재료 및 방법 5
A. 연구 재료 5
B. 연구 방법 5
1. 세포주 및 세포배양 5
2. preparation of PA 5
3. Uptake of 2-NBDG 6
4. Western blot analysis 6
5.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7
Ⅲ. 결과 8
A. 근아세포인 C2C12의 분화 8
B. 팔미트산이 인슐린 저항성과 염증에 미치는 영향 10
C. 팔미트산에 의한 HDAC3의 단백질 발현조사 14
D. MS-275에 의한 팔미트산 유도 인슐린 저항성과 염증 감소 효과 16
E. MS-275 약물 단독에 의한 효과 조사 20
Ⅳ 고찰 22
Ⅴ 결론 25
참고문헌 26
영문요약 2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