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착용형 에어백의 충격력 시험 방법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mpulsive force test method for wearable airbags

초록/요약

경제가 발전하고 국민소득이 높아질수록 생명과 건강한 삶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기 마련이다. 건설 현장 등 사업장에서 안전은 생명과 직결되고, 위험물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은 산업재해 없는 건강한 삶을 추구하려는 당연한 심리라 생각된다. 2016년 1월 다포스 포럼에서 경제산업 분야의 전문가들을 모셔놓고 이야기한 새로운 변화의 물결, 4차 산업혁명(인더스트리 4.0)의 커다란 변화의 물결이 우리의 삶 속에 다가오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산업계의 Mega-Trends에 따르면 산업구조의 변화, 생산 방식의 변화, 사회 환경의 변화, 근로 형태의 변화 등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눈부신 산업 성장과 더불어 다양한 융복합 신제품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된 제품들이 기존에 목숨을 걸고 진행해야 할 일들을 대체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인명을 구하고, 위험을 통제하며, 효율적으로 산업재해를 해결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융합 신제품 중에 하나로 추락 시 인체 보호용 착용형 에어백을 개발하였으며, 개발제품의 다각적 평가를 통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을 보장하여 낙하 추락이 일어나는 산업 현장에서 근로자가 더욱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융합 신제품에 대한 신뢰성 있는 평가 방법 개발하여야 하며 제품성능 평가가 우선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롭게 개발되는 추락 시 인체 보호용 착용형 에어백 제품에 대한 성능평가 방법을 국제표준 및 국가표준 등을 통해 추락 충격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융합 신제품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핵심 성능인 추락 충격력에 대한 감소가 어느 정도 일어나는지와 사용자의 다양한 환경에서의 제품의 평가항목을 고려해 평가 기준을 만들어 제품이 시장 출시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개발된 평가 장비를 다각적으로 평가하여 산업 현장 근로자가 더욱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고 생각된다.

more

목차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목적 1
1.2 연구내용 2
1.3 연구방법 3
제 2 장 산업 안전 동향 및 에어백 기업 조사 6
2.1 산업 안전 동향 6
2.1.1 산업 안전 패러다임 변화 6
2.1.2 중대 산업재해 예방대책 9
2.1.3 차 사고 시 에어백 유무에 따른 사망률 11
2.2 착용형 에어백 동향 11
2.2.1 착용형 에어백 개발제품 11
2.2.2 착용형 에어백 시장 분석 13
제 3 장 착용형 에어백 평가 방법개발 17
3.1 개요 17
3.2 추락 충격에 대한 기준 및 관련법 조사 19
3.2.1 국내외 시험평가 기준 조사 19
3.2.2 국내외 산업안전보건법 22
3.3 착용형 에어백 시험을 위한 평가기관 조사 및 평가 방법개발 27
3.3.1 국내 추락 충격 시험평가 기준 조사 27
3.3.2 전문가 회의를 통한 평가 방법개발 31
3.3.3 추락 충격 보호 에어백 소재평가 방법개발 내용 32
제 4 장 개발된 착용형 에어백 평가 방법을 통한 충격 감속 평가 37
4.1 추락 충격력 시험평가 장치 37
4.2 착용형 에어백 소재평가 39
제 5 장 평 가 결 과 44
참고문헌 4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