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스마트폰 기반 학생들의 주관적 웰빙과 충동성 분석

초록/요약

모바일,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이 보편화 되고 센서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의 다양한 활동에 대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해졌다. 특히 일상생활 전반에 걸친 다양한 서비스가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되면서 스마트폰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이해가 가능해졌다. 그에 따라 스마트폰 기반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및 인지 기능에 대한 분석과, 컴퓨팅 기술을 통해 사람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심리학 분야에서도 사람들의 활동과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스마트폰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를 심리학 연구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사람들의 인지과정과 행동을 탐색적으로 파악하고 데이터 기반의 예측을 심리학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주대 학생(28)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데이터를, 카이스트 학생(80명)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데이터와 정신건강 관련 자가보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인지 기능에 대해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 1 에서는 카이스트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정신건강을 탐색적으로 파악,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사례 연구 2 에서는 아주대와 카이스트 학생들의 스마트폰 데이터에서 학생들의 충동적 행동을 발견, 관리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여 스마트폰 데이터를 심리학 영역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more

초록/요약

As the use of mobile and wearable devices has become more common and sensor technology has developed, data collection for various activities of people has become possible. In particular, as various services throughout everyday life are provided through smartphon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smartphone users' lifestyles. Accordingly, the analysis of smartphone-based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s and the research to help people improve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rough computing technology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various discussions are being held in the field of psychology to utilize smartphone data that reflect people's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t is said that by applying big data to psychological research, people's cognitive processes and behaviors can be explored, and data-based predictions can be applied to psychological areas. In this study, smartphone data was collected from Ajou University students (28), and smartphone data with self-reporting data related to mental health from KAIST students (80) were collected to analyze students' ment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s. Case Study 1 established a model for exploring and predicting mental health through data collected from KAIST students, and Case Study 2 sought to apply smartphone data to the psychological field by establishing a model for discovering and managing students' impulsive behavior in smartphone data from Ajou University and KAIST students.

more

목차

제 1절. 서론 1
제 2절. 관련 연구 3
2.1 새로운 연구 도구로서의 스마트폰 3
2.2 스마트폰 데이터 기반 정신건강 분석 4
2.2.1 스마트폰 데이터 기반 정신건강 분석 : 상관관계 5
2.2.2 스마트폰 데이터 기반 정신건강 분석 : 예측(분류, 회귀) 5
2.3 스마트폰 데이터 기반 인지 분석 6
2.4 본 연구의 Contribution 6
제 3절. 사용자 스터디 8
3.1 데이터 수집 9
3.1.1 사전 설문 데이터 9
3.1.2 자가 보고 데이터 10
3.1.3 스마트폰 센서 데이터 11
제 4절. 사례 연구 1 : 주관적 웰빙, Subjective Well-being 13
4.1 서론 13
4.2 연구방법 15
4.2.1 Data collection & Data preprocessing 16
4.2.2 Feature Extraction 16
4.2.3 Analysis 21
4.3 연구 결과 22
4.3.1 Phase 1 : Factors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22
4.3.2 Phase 2 : Classification of Subjective Well-being changes 23
제 5절. 사례 연구 2 : 충동성, Impulsiveness 26
5.1 서론 26
5.2 연구방법 28
5.2.1 데이터 수집 28
5.2.2 Quantitative Analysis 28
5.2.3 Modeling 31
5.3 연구 결과 33
제 6절 결론 35
참고문헌 3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