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영재와 어머니의 회복탄력성, 주관적 안녕감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1, 2, 3학년 영재의 주관적 안녕감, 회복탄력성과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초등영재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저학년인 초등영재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정의적 특성을 고려한 초등영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초등영재와 부모의 관계를 기초로 한 초등영재 대상 부모교육의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영재의 주관적 안녕감과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초등영재의 회복탄력성과 어머니의 회복탄력성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초등영재의 주관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에 재원하고 있는 초등학교 1, 2, 3학년 70명과 그의 부모 중 주 양육자인 어머니 70명, 총 140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독립표본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단순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재의 주관적 안녕감과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남으로써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이 높으면 초등영재의 주관적 안녕감도 높았다. 둘째, 초등영재의 회복탄력성과 어머니의 회복탄력성도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어머니의 공감 능력과 적극적 도전성이 높을수록 초등영재의 회복탄력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셋째, 초등영재의 주관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 전체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서적 안녕감이 높아지면 회복탄력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학년에 따른 회복탄력성을 비교한 결과, 1학년 초등영재 보다 3학년 초등영재의 회복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재를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주관적 안녕감을 조사하고 주양육자인 어머니의 특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초등영재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정의적 특성을 고려한 초등영재교육의 기초자료와 부모교육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관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영재의 성공적인 학교생활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Ajo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nvergence and Gifted Education Major (supervised by Yoo, Mi-Hy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help understand them. Through this study to help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grade elementary gifted childre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It is meaningful to develop technical programs based on their relationships and provide basic data to educate parents of elementary gifted children. To accomplish these study purposes, following questions were formed.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gifted children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ir mother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lience of elementary gifted children and the resilience of the their mother?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resilience of elementary gifted children?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140, including 70 elementary gifted children and 70 their mothers, were surveyed on subjective well-being and resilience. Elementary gifted children are being educated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Results were used in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one way ANOVA, Scheffé,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s were processed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for descriptive. The summar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gifted children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others showed a static correlation, so if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others was high, the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gifted children was also high. Second, the resilience of elementary gifted children and the resilience of mothers also showed a static correlation, and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higher the mother's empathy is and the level of active challenges, the greater the resilience of elementary gifted children would be. Third,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resilience of elementary gifted children as a whol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and it can be predicted that increased emotional well-being will increase resilience as well. Comparing the resilience of each gra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ilience of the third-year elementary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year elementary stu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tudents and to find out how they relat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s who is the main parent. Through this process, basic data and parent education materials for elementary gifted children in consideration of their righteous characteristics to help them understand the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gifted children will be provi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nsure successful school life for elementary students through subjective well-being and resilience promotion programs.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의 정의 6
4. 연구의 제한점 8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9
1. 영재 특성 9
2. 영재의 가족 15
3. 긍정심리학 속의 영재 17
4. 선행연구 고찰 26
Ⅲ. 연구방법 및 절차 32
1. 연구 대상 32
2. 측정 도구 34
3. 자료 분석 3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9
1. 초등영재와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 관계 39
2. 초등영재와 어머니의 회복탄력성 관계 43
3. 초등영재의 주관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48
Ⅴ. 결론 및 제언 51
1. 결론 51
2. 시사점 및 제언 53
참고 문헌 5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