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5,6학년 영어 교과서 쓰기활동 분석 : 핵심역량과 성취기준의 반영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성취기준이 초등 5·6학년군 영어 교과서 5종의 쓰기 활동에 잘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교과서 쓰기 활동을 언어 기능, 활동 유형, 집단구성으로 분류하여 핵심역량이 교과서 쓰기 활동에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분석하였고, 초등 5·6학년군 영어 교과서의 쓰기 활동에 성취기준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분석하여 교과서 제작 및 연구에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핵심역량이 교과서 쓰기 활동에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분석한 결과, 언어 기능 통합 측면에서 개별적 기능은 전체의 31.5%를 차지하였고 통합적 기능은 전체의 68.5%를 차지하였다. 두 기능 통합은 전체의 29.6%, 세 기능 통합은 전체의 21%, 네 기능 통합은 전체의 17.9%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언어 기능 통합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현 교육과정의 방향에 맞게 언어 기능 통합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활동 유형 측면에서는 통제 작문이 전체의 75.9%, 유도 작문이 전체의 22.8%, 자유 작문이 전체의 1.3%으로 통제 작문이 다른 작문에 비해 매우 높았다. 또한 통제 작문 중에서도 빈칸 채우기가 전체의 40.5%로 제일 높았다. 유도 작문에서는 예문이나 모형에 따라 글쓰기, 주어진 정보 및 제안에 따라 글쓰기, 장르 지정하여 글쓰기를 하는 제시가 전체의 15.1%로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통제 작문에 비해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의 활동이 매우 적게 제시됨을 알 수 있다. 집단구성 측면의 분석에서는 개별 활동이 전체의 62.1%, 짝 활동이 전체의 18.2%, 모둠 활동이 전체의 10.3%, 전체 활동이 전체의 9.4%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5종 교과서는 모두 개별 활동과 짝 활동의 많았고, 모둠 활동과 전체 활동은 적게 제시되었다. 성취기준이 교과서 쓰기 활동에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분석한 결과, 다섯 가지의 성취기준이 고루 반영되지 못했으며, 실물이나 그림을 보고 한두 문장으로 표현하는 활동이 전체의 50.4%로 가장 많은 활동이 제시되었고, 다음으로 구두로 익힌 문장을 쓰는 활동이 전체의 31.8%로 두 번째로 활동이 많았다. 다음으로 소리와 철자의 관계를 바탕으로 쉽고 간단한 낱말이나 어구를 듣고 쓰는 활동은 전체의 11.1%의 활동을 제시하였다. 알파벳 대‧소문자와 문장부호를 문장에서 바르게 사용하는 활동은 전체의 3.1%를 차지하였고 예시문을 참고하여 간단한 초대, 감사, 축하 등의 글을 쓰는 활동은 전체의 3.6%를 차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추후의 교과서 제작과 영어 교과서를 사용하는 교사들에게 다음과 같은 보완점과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대부분의 교과서의 쓰기 활동이 3차시부터 6차시에 걸쳐 제시되고 있는데 3학년 1학기부터 쓰기 활동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5‧6학년군 영어 교과서에는 1차시부터 6차시의 모든 차시에 네 가지 언어 기능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에 통합 지도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통제 작문의 줄이고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을 늘릴 필요가 있다. 또한 낱말이나 어구중심의 쓰기 활동은 수동적인 학습이 되기 쉽고 학습자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이끌어 내지 못하기 때문에 지양되어야 하고 문장이나 문단 및 글쓰기 활동을 늘려 현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핵심역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쓰기 활동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개별 활동의 비중을 줄이고 모둠 활동과 전체 활동의 비중을 늘려 동료들과의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동체 역량을 향상 시키고, 좀 더 유의미한 쓰기 활동이 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구성함이 필요하다. 넷째, 성취기준의 다섯 가지 항목이 고루 반영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내용과 사진 및 실물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한 내용을 삶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교과서의 교수·학습 활동에 개정된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교과서의 내용이나 지시문을 변화시켜 언어 기능을 통합하여 수업을 설계할 수 있고, 개별 활동을 짝 활동이나 모둠 및 전체 활동으로 변화시켜 지도할 수 있다. 또한 통제 작문을 유도 작문이나 자유 작문으로 변화시켜 지도할 수 있다. 그리고 성취기준 중 비중이 낮은 구두점 고치기나 알파벳 대‧소문자와 문장부호를 바르게 사용하여 쓰는 활동 및 간단한 초대, 감사, 축하 등의 글을 쓰는 활동을 교사가 수업시간에 제시하여 지도하는 역량이 필요하다. 이러한 역량을 갖춘 교사를 위한 연수도 구축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교과서 쓰기 활동의 핵심역량과, 성취기준의 반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교사들에게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안내와 차후 교과서 개발을 위한 개선점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2.1. 초등 영어 쓰기 교육 5
2.1.1. 쓰기의 정의 및 교육의 필요성 5
2.1.2. 쓰기 활동 유형 9
2.2. 2015 개정 초등영어과 교육과정 14
2.2.1. 목표 및 핵심역량 14
2.2.2. 쓰기 영역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7
2.3. 언어 기능의 통합 지도 19
2.4. 집단구성 20
2.4.1. 짝 활동의 정의 및 효과 21
2.4.2. 모둠 활동의 정의 및 효과 22
2.5. 선행연구 25
2.5.1. 쓰기 활동 25
2.5.2. 집단구성 26
2.5.3. 언어 기능 통합 28
2.5.4. 핵심역량 및 성취기준 30
Ⅲ. 연구방법 33
3.1. 분석대상 33
3.2. 분석기준 36
3.2.1. 핵심역량 반영 분석 기준 36
3.2.2. 교과서 쓰기 활동의 성취기준 반영 분석 4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5
4.1. 교과서 쓰기 활동의 핵심역량 반영 분석 45
4.1.1. 언어 기능 45
4.1.2. 활동 유형 52
4.1.3. 집단구성 56
4.2. 교과서 쓰기 활동의 성취기준 반영 분석 66
Ⅴ. 결론 및 제언 74
5.1. 결론 74
5.2. 제언 76
참고문헌 8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