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년기의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 적극적 대처와 걱정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와 걱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중년기의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삶의 만족도, 적극적 대처, 걱정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중년기의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삶의 만족도, 적극적 대처, 걱정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중년기의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 걱정은 매개효과가 있는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10개 도에 거주하는 40~60세 성인 남자 340명, 여자 413명 총 75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적극적 대처 척도, 걱정영역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AMOS 2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 남성에 비해 여성이 자기 결정적 고독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기 결정적 고독 동기, 적극적 대처,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변인 간 상관분석결과 자기결정적고독동기는 삶의 만족도, 적극적대처, 걱정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적극적 대처와 정적상관을, 걱정과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적극적대처와 걱정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적극적 대처와 걱정은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삶이 만족도의 관계에서 적극적대처는 걱정을 거쳐 순차적인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년기 자기결정적 고독동기를 가진 사람들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걱정이 많은 중년기 성인에게 적극적 대처를 증진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려준다. 이 외에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9
Ⅱ. 이론적 배경 11
1. 중년기 11
2.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13
3. 삶의 만족도 14
4. 적극적 대처 16
5. 걱정 18
6. 관련 변인간의 관계 21
Ⅲ.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27
2. 측정도구 29
3. 자료 분석 33
Ⅳ. 연구결과 34
1. 각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34
2.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적극적 대처, 걱정, 삶의 만족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35
3.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적극적 대처, 걱정, 삶의 만족도 간의 상관 관계 38
4.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적극적대처와 걱정의 매개효과 39
Ⅴ. 논의 50
1. 요약 및 논의 50
2. 결론 및 제언 53
참고문헌 5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