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억울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eelings of Unfairness(Uk-Wool)’ Scale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억울의 4가지 구인(인지, 정서, 행동, 신체)을 파악하고, 각각의 구인을 반영하는 억울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 1에서는 본 연구자가 1인의 심리학 전문가와 함께 억울의 4가지 요인을 반영하는 60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5인의 심리학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47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이후 대학생 273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3개 하위요인의 15문항이 도출되었으며, 요인 1은 ‘정서/신체적 반응’, 요인 2는 ‘부당성 인식’, 요인 3은 ‘회피적 행동’으로 명명되었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개발한 억울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억울 척도와 관련 척도들을 사용하여 일반 성인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1요인 경쟁모형에 비해 3요인 연구모형이 더 우수한 적합도를 보여 최종적으로 3요인 모형이 채택되었다. 다음으로 억울 척도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억울 척도와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정적 및 부적 정서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억울 척도의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억울 척도와 화병 척도, 외상 후 울분장애 척도 및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억울 척도의 증분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억울 척도가 종속변인(화병, 외상 후 울분장애)에 대한 상태-특성 분노와 부적 정서의 설명량 외에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하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Cronbach’s α 계수를 통해 억울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more

초록/요약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study identified the four constructs of feelings of unfairness(‘Uk-Wool’ in Korean)(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body), and developed and validated ‘Feelings of Unfairness(Uk-Wool) Scale’ that reflect each construct. To this end, in Study 1, this researcher developed 60 preliminary questions that reflect four constructs of Uk-Wool with one psychology expert, and selected 47 preliminary questions after verifying the content validity of five psychology experts. Subsequentl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47 preliminary questions was conducted on 273 college students, and 15 questions of three sub-factors were derived, with factor 1 being named 'emotional/physical response', factor 2 being 'recognition of unfairness' and factor 3 being named 'avoidance behavior'. In Study 2, the validity of Uk-Wool scale developed in Study 1 was verified. To this end, a survey of 307 adults was conducted using Uk-Wool scale and relevant scale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three-factor research model showed better goodness of fit than the one-factor competition model, and finally the three-factor model was adopted. Next, the correlation between Uk-Wool scale and STAXI and PANAS was analyzed to verify the convergence and discriminative validity of the Uk-Wool scal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Uk-Wool scale and Hwa-Byung scale, PTED scale, and BJWS was confirmed to verify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Uk-Wool scale. In order to verify the incremental validity of Uk-Wool scale, it was confirmed that Uk-Wool scale provides additional explanations in addition to the state-trait anger and negative affect for the dependent variable (Hwa-Byung, PTED). Finally, the reliability was verified through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more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4
1. 억울 4
1-1. 억울의 인지적 특성 4
1-2. 억울의 정서적 특성 6
1-3. 억울의 행동적 및 신체적 특성 7
1-4. 억울의 종합적 특성 9
2. 억울과 정신건강 10
3. 억울의 측정 14
3-1. 억울함 상황 기술문 척도 14
3-2. 억울 척도 15
III. 연구 1: 억울 척도 개발 16
1. 방법 16
1-1. 문항선정 16
1-2. 연구 참가자 17
1-3. 측정 도구 17
1-4. 분석방법 18
2. 결과 18
IV. 연구 2: 억울 척도 타당화 22
1. 방법 22
1-1. 연구 참가자 22
1-2. 측정 도구 23
1-3. 분석방법 26
2. 결과 27
2-1. 확인적 요인분석 27
2-2. 수렴 및 변별타당도 29
2-3. 준거타당도 31
2-4. 증분타당도 32
2-5. 신뢰도 34
V. 종합 논의 35
■ 참고문헌 40
■ 부록 49
■ ABSTRACT 6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