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기업 퇴직자의 새로운 직업찾기 과정에 나타난 전환학습 경험 내러티브 탐구

초록/요약

본 논문은 대기업에서 오랫동안 근무하다가 정년이전에 회사의 조기 퇴직제도에 의해 퇴직을 선택한 이들이 퇴직이후 새로운 직업을 찾는 과정에서의 경험과, 새로운 직업을 찾은 이후의 삶의 모습을 전환학습적 관점에서 탐구한 논문이다. 지금까지 대기업 출신 퇴직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주로 전직지원 프로그램이 구직 효능감 증대나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효과 등 재사회화를 위한 외재화 가치에 역점을 둔 연구가 주를 이룬다. 반면에 퇴직이후 경험하는 상실감, 두려움 등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목표 설정을 통하여 도전하고 성취해 나가는 과정에서의 학습경험과 같은 내재적 가치를 드러내는 연구들은 활발히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ezirow의 전환학습이론을 이론적 틀로 하여 생애 전환기에 서 있는 중년들의 경험분석을 통하여 그 들의 삶의 맥락과 퇴직이후 새로운 직업 찾기 과정에서의 전환학습 양상을 명확히 드러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점 더 증가추세에 있는 대기업 조기 퇴직자들이 새로운 삶을 마주하는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을 드러내는 노력을 통하여 내재적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의미있는 지점을 만들어 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내러티브의 시작: 연구자의 이야기 1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

3. 연구 문제 11

Ⅱ. 이론적 배경 12

1. 전환학습 12

가. 전환학습의 개념 12

나. 전환학습 단계의 핵심요인 17

다. 전환학습이론에 대한 다양한 논의 31

라. 전환학습 선행연구 검토 34

마. 새로운 직업 찾기 과정과 전환학습 37

2. 직업적응 및 퇴직 38

가. 직업적응이론 개념 38

나. 대기업 출신인력의 조기퇴직 의미 40

다. 조기 퇴직자의 실직경험 현상 42

III. 연구 방법 45

1. 내러티브 탐구 45

2. 연구 참여자 49

가. 연구 참여자 선정 49

나. 연구 참여자 소개 51

3. 연구절차 및 분석과정 55

가. 현장텍스트 수집 57

나. 텍스트 분석 61

4.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 64

Ⅳ. 대기업에서 조기퇴직한 두 중년 가장의 새로운 직업 찾기 내러티브 67

1. 취미가 직업(덕업일치)이 된 ‘이건장’의 내러티브 67

가. 운동 매니아이자 모범생, 자동차 엔지니어를 꿈꾸다 69

나. 자동차 무대에 오른 캐스트, 그리고 고장난 네비게이션 75

다. 다시 단역으로 잠시 캐스팅, 그리고 연출가로의 변신 89

2. 적성에 맞는 직업 찾아 삼만리! ‘허배려’의 내러티브 96

가. 강원도 산골의 올곧은 나무처럼, 나이테를 형성해 나가다 97

나. 맞지 않는 옷, 계속 늘려 입다가 26년만에 벗다 102

다. 정말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직업을 향하여 108

라. 엔지니어에서 두 개의 기관을 거느린 사업가로 변신! 116

Ⅴ. 새 직업 찾기 과정에서의 전환학습 경험 122

1. 여행에서 돌아오니 여행에서 보지 못한 것이 보이네! 123

가. 경험이라는 씨앗, 또다른 경험의 양산 123

나. 직업과 삶의 진정한 통합을 위한 긴 여정 136

2. 세상의 규격화된 삶에서, 나대로의 삶으로! 150

가. 한 단계씩 정진하는 삶, 삶의 의미와 함께하는 과정 151

나. 희망의 지렛대, 조력(助力) 157

Ⅵ. 새로운 작업을 찾은 이후 삶의 모습 165

1. 세상에 보여 주기 식 삶에서, 나답게 살아가기 165

Ⅶ. 논의 및 결론 170

1. 논의 및 결론 170

2. 후속 연구 제언 178

참고문헌 18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