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문해교육 학습자의 동아리 활동에 나타난 공동학습경험 : '한올 두올' 사례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최근 문해교육에 대한 관심과 연구들은 증대되고 있는 것에 비해 문해교육 학습자들의 부가적인 활동과 그로 인한 공동학습경험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문해교육에 의한 성장과 변화, 학습 동기나 참여지속 방해요인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인 배경 속에서 본 연구는 문해교육 학습자로써 평생교육에 첫 걸음을 내딛었으나 동아리 활동과 공동학습을 경험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평생학습자가 되어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연구는 S시의 문해교육기관의 뜨개질 동아리인 ‘한올 두올’의 구성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진행하여 동아리 구성원들에게서 나타나는 공동학습 경험과 동아리 활동을 통한 변화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 구성원들이 ‘한올 두올’ 동아리에 참여하게 된 맥락은 건강의 목적인 치매예방을 위해서와 재미있을 것 같은 취미생활을 위해서, 그리고 봉사활동을 위해서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참여맥락은 이렇게 달랐지만 활동을 하면서 공동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기 위해 서로 격려하고 서로 배움을 나누는 양상과 봉사활동을 하고 다른 사람들을 돕고 싶다는 마음이 커지는 등 같은 방향으로 성장, 변화하였다. 둘째, 동아리 활동을 통해 구성원들은 서로 간의 소통을 통해 격려와 지지를 얻었고, 이로 인하여 학습에도 자신감을 얻었으며 더 높은 학습 목표를 설정하게 되었으며, 동아리 활동 중 봉사활동을 경험하면서 이타적인 모습으로 변모하였으며, 동아리에 대한 애착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동아리 활동을 권유하는 등 개인의 성장과 동아리 전체의 성장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동아리 활동과 공동학습경험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개인적으로도 성장하고 변화하였으며, 구성원 간의 소통과 서로 격려하는 행동의 긍정적인 힘에 대해 공감하게 되었고 이를 다른 이들에게도 확산시키고자 하는 마음이 드러나는 모습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단순히 동아리의 참여자로써의 양상이 아닌 적극적인 주체자로서 변모하는 모습을 보여 동아리 전체적으로도 성장과 변화를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문해교육기관의 뜨개질 동아리인 ‘한올 두올’의 활동을 통한 공동학습경험과 변화의 모습은 다음과 같이 평생교육 분야에서의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서로 다른 이유와 목적을 갖고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게 된 구성원들이 공동의 관심사와 목표를 가지고 배우고 소통을 하면서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해나가고 동화되어가면서 지속적인 학습을 하고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이다. 둘째, 문해교육기관에서의 동아리 활동을 통해서 문해교육 학습자들 또한 공동학습경험을 하고 평생 학습에 대한 의지를 나타내는 평생학습자로써의 변모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more

목차

Ⅰ. 서 론 0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1
2. 연구문제 05
Ⅱ. 이론적 배경 06
1. 문해교육 학습자 06
가. 문해교육의 의미와 학습자의 특성 06
나. 문해교육 참여를 통한 변화 09
2. 노인 동아리 활동 12
가. 학습동아리 12
나. 노인 동아리 활동 16
다. 노인의 평생학습과 행복경험 21
3. 공동학습경험 25
가. 경험과 경험학습 25
나. 공동학습의 의미와 특징 27
나. 공동학습경험과 노인 학습동아리에 관한 선행연구 33
Ⅲ. 연구방법 36
1. 질적 사례연구 36
2. 연구사례와 참여자 38
3. 자료수집 및 분석 41
4. 연구의 윤리성 및 신뢰성 확보 43
Ⅳ. 문해 학습자의 동아리활동을 통한 공동학습경험 46
1. 참여 맥락 46
가. 못 배운 한과 새로운 시작 : 문해교육 참여 맥락 46
나. 또 다른 나를 찾아서 : 동아리 참여 맥락 51
2. 공동학습경험 54
가. 소통을 통해 서로 배우다 55
나. 더불어 하는 삶 속에서 피어나다 57
3. 달라진 자신과 타인에게 나누는 삶 59
가. 새로운 나를 찾아서 59
나. 다른 이에게 나누다 67
Ⅵ. 논의 및 결론 72
1. 논의 72
2. 결론 75
참고문헌 7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