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조선 초기 왕비를 배출한 가문의 정치·사회적 지위에 대한 실증적 분석

The Empirical Study on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us of Queen’s Famili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초록/요약

In pre-modern Korea, it was important for ruling class to obtain an official title in a government.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of pre-modern East Asia, the class often found to arrange marital connection with highly prestigious families to maintain their political and social status. Particularly, forming the marital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brings a significant number of chances to elevate their social status due to their close connection with a King. One of the ways to form the tight relationship was arranging a daughter’s marriage with a King or King’s son. By marrying their daughter to a royal family, the daughter’s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parents improve their social status by establishing a social bond between each other. ruling class’ families which made a queen in early Joseon generally had have a power until Goryeo dynasty. Thus, if we find the significance of their political and social status of queens’ family, we may identify the origin of their political power and their strategies to maintain their status through political turmoils including regime switching. In this thesis, I analyzed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us of the queen’s families in the early Joseon. More specifically, I analyze the data of families, which made their daughter a queen. The data are composed by thirteen families. And it was divided by units of the surname(姓貫) and ‘pa(派, 家系)’. After trimming the data into unbalanced panel, I used a fixed-effects regression model to analyze the data by considering unobserved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may be collinear with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empirical model.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I find two noteworthy implications. First, as the unit of the surname, their political status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making a queen. However, I could find some significant roles of the marriage such as the effects of meritorious subject and previous generations’ social statuses become more critical to change the following generations after the queen event. The results, thus, show that having a queen in a families effected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us of the family member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a political status of the unit of ‘pa’, confirm that if they were queen’s closed family, they could implement their strong status after making a queen. Furthermore, the social status of the unit of ‘pa’ could have risen significantly by king’s special treatment. This study shows that making a queen is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status of the members of ruling calss’ families. The ruling families in pre-modern korea adopted various survival strategies, and they used it according to circumstance even they had special events such as ‘making the queen’. Korean ruling class who had have a powerful status from Goryeo dynasty tried royal marriage in early Joseon, when was a time of political turmoil to maintain their social status. After they succeeded in making the queen, they adopted new strategies which was different than before. they strengthened their status by marry with the royal family or other families, or make meritorious subjects.

more

초록/요약

전근대 동아시아의 지배층과 마찬가지로 조선의 지배층은 가문의 정치·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관직에 진출하거나 혼인을 했다. 특히 왕실과의 혼인은 왕실의 최측근으로 가세를 확장할 좋은 기회로 알려져 있다. 조선 전기에 왕비를 배출한 양반 가문은 대체로 고려부터 세족으로 명망이 높은 가문이었다. 그러므로 조선 전기에 왕비를 배출한 가문의 정치·사회적 지위를 확인하면 조선 전기 정치적 구조와 왕조의 전환에 따른 지배층의 생존 방법, 그리고 그들의 연속성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초기 왕비를 배출한 가문의 정치·사회적 지위에 대해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왕비의 부계와 모계 가문을 모두 포함한 가문의 족보를 활용해 자료화했고, 이 때 가문을 씨족 단위와 계파 단위로 나누어 기존 연구의 결과를 통계적 기법을 통해 확인했다. 가문을 정치적 배경 혹은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두 부류 간 관직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test와 ANOVA 분석을 사용했고, 관직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양반 가문의 정치적 지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씨족 단위의 구성원은 왕비 배출로 인해 관직이 정치적 지위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다만, 왕비 배출을 전후로 정치적 지위에 영향을 끼치는 혼인, 공신, 조상의 영향력에 차이가 발생했다. 특히 정치적 지위에 대한 혼인의 영향력은 왕비를 배출한 후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즉 왕비 배출이 양반 가문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는데 그 양상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계파 단위의 정치적 지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왕비와 가까울수록 배출 후 관직이 크게 오를 수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계파의 사회적 지위 역시 왕비를 배출하고 나서 크게 상승할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를 통해 왕비 배출은 한국의 지배층에게 있어서 가세를 확장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왕비 배출은 지배층의 정치·사회적 지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조선 전기 왕비 배출을 전후로 관직뿐만 아니라 혼인이나 공신, 과거, 조상의 영향력을 사용하여 그들의 전반적인 가세를 확장시켰다. 그러므로 전근대 한국의 지배층은 고려 후기부터 조선 중기까지 계속해서 그들의 정치·사회적 지위를 유지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ore

목차

1장 서론 1
1절 연구 목적 1
2절 연구사 검토 5
3절 연구 범위와 논문의 구성 10
2장 조선 초기 사회과 왕실혼 13
1절 조선 초기 사회와 지배층 13
2절 조선 초기 왕실혼 17
3장 왕실과의 혼인과 지배층의 관계 26
1절 전근대 한국의 족보 26
2절 자료의 구성 및 통계 분석 방법 29
3절 왕비를 배출한 가문의 특성 38
4장 왕비 배출과 양반의 정치사회적 지위 48
1절 씨족 단위의 정치사회적 지위 48
2절 계파 단위의 정치사회적 지위 59
5장 결론 7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