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생 또래애착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또래애착과 기본심리욕구, SNS 과의존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또래애착과 SNS 과의존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은 매개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지역 중학생 473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설문지에는 SNS중독경향성 척도, 한국판 청소년 또래애착 척도 그리고 한국형 청소년 기본심리욕구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이변향 상관관계분석, Baron과 Kenny(1985)가 제안한 3단계 회귀분석절차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크기와 유의도 검증에는 Hayes(2013)의 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기본심리욕구, SNS 과의존의 세 변인은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의 세 하위변인 모두 SNS 과의존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이고, 안정과 불안애착은 SNS 과의존에 정적 영향을, 회피애착은 부적 영향을 보였다. 기본심리욕구의 하위변인 중 유능감과 관계성의 욕구는 안정과 불안애착일 때 각각 정적과 부적 영향력을, 자율성 욕구는 안정과 회피애착일 때 정적인 영향력을 불안애착일 때 부적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이 매개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안정애착일 경우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유능감 만족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불안애착은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유능감의 만족이 매개하였다. 또한 불안애착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관계성의 욕구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정애착일 경우에SNS 과의존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력에 대해 기본심리욕구의 하위변인인 유능감 만족이 SNS 과의존에 중요한 변인이 되고, 불안애착일 때 유능감과 관계성 욕구의 만족이 SNS 과의존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변인이 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중학생 시기에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이 SNS 과의존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기본심리욕구의 하위 변인별로 살펴봄으로써 각각의 요인이 미치는 영향력과 경로를 차별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9
1. SNS 과의존 9
2. 또래애착 12
3. 기본심리욕구 15
4. 또래애착, 기본심리욕구, SNS 과의존 19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측정도구 27
3. 자료분석 30

Ⅳ. 연구결과 31
1. 연구 변인들의 기술통계 31
2. 연구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32
3. 또래애착이 SNS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34
4. 또래애착이 SNS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41

Ⅴ. 논의 및 결론 43
1. 요약 및 논의 43
2. 결론 및 제언 46

참고문헌 49
부록 6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