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일반국도의 소형트럭 적재중량분포와 과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Load Weight and Overloading of Small Trucks on National Highway

초록/요약

본 연구는 소형트럭의 실제 과적비율을 조사하여 과적현황 분포 및 특성을 파악하였다. 자료는 경기도 평택시 국도의 세 지점을 선정하여 수집하였다. 중량정확도는 공공기관에서 확인된 것이 없어 자체 수집 자료를 통하여 보정하여 사용하였다. 과적비율을 분석한 결과, 중량적재별로는 1.5톤 이하 트럭에서는 6.60%로, 2.5톤 이하 트럭에서는 30.60%로, 3.5톤 이하 트럭에서는 13.74%로 나타났다. 그리고 5톤 이하 트럭에서는 12.41%로, 8.5톤 이하 트럭에서는 2.93%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2.5톤 이하 트럭이 평균 30.6%의 가장 높은 과적비율을 보였고, 3.5톤 이하 트럭은 평균 13.7%, 5톤 이하 트럭은 평균 12.4%의 과적비율로 조사되었다. 요일별 과적분포를 분석한 결과, 지점1과 지점2는 전체적으로 일요일에 가장 높았지만, 지점3은 다른 두 지점과 달리 수요일에 가장 높았다. 요일별 과적 분포는 어느 특정 요일에 과적차량이 집중되기보다 차선의 경로, 도로의 근접지역, 물류의 종류 특성상 트럭 이동 행태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간대별 과적비율을 살펴보면, 소형트럭은 낮 시간(10:00~15:59)에 지점1은 6.62%, 지점2는 6.27%, 지점3은 10.56%로 과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3종과 4종을 합친 소형트럭은 낮 시간에 8.52%의 과적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로부터, 현재 소형트럭의 과적에 큰 문제점이 있는 바, 향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도로의 수명과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 그리고 안전 측면에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more

목차

제 1 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제 2 장 이론적 배경 4
제 1 절 과적차량의 정의 및 관련 법제도 4
제 2 절 과적운행의 원인과 위험성 7
제 3 절 피에조(Piezo) 센서 원리 9
제 4 절 선행연구 고찰 11
제 3 장 자료수집 및 평가방법 13
제 1 절 자료수집 13
제 2 절 평가방법 24
제 3 절 장비의 보정 및 정산 24
제 4 장 결과분석 28
제 1 절 조사지점별 소형트럭 교통량 28
제 2 절 중량적재별 과적비율 32
제 3 절 요일별 과적비율 37
제 4 절 시간대별 과적비율 47
제 5 절 소결 54
제 5 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57
제 1 절 결론 57
제 2 절 향후 연구과제 58
참 고 문 헌 60
Abstract 6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