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장애통합어린이집의 교사가 인식한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통합보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유아의 장애 유형에 상관없이 어린이집에 배치되는 문제로 인한 장애통합보육의 한계점 및 장애통합보육 시 장애 유형의 구분 없이 배치되는 문제점을 제시함으로써 장애통합보육의 현장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유형의 관점에서 바라본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장애통합보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장애 유형에 따른 통합보육 의 태도와 장애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셋째, 장애통합어린이집의 보육현장에서의 문제점 및 운영지원 요구 넷째, 배경 변인에 따른 장애통합보육에 대한 인식과 보육현장에서의 문제점 및 운영지원 요구 무엇인가? 본 연구는 유아의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통합보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전국의 시군구 중 서울시, 용인시, 평택시, 오산시, 화성시, 안산시에 소재한 국·공립 장애통합어린이집을 선정하였다. 각 시·군별로 선정한 어린이집의 장애통합반을 담당하고 있는 장애 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 및 특수교사, 장애통합반의 보육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장애통합보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문항은 1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통합보육이 장애 유아에게 주는 효과 7문항, 장애 유형에 따른 통합교육 태도 10문항, 장애 유형을 고려하지 않은 보육현장에서의 보육의 문제점 10문항, 장애통합보육지원 요구 26문항,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통합보육지원 요구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대상인 장애통합반을 담당하고 있는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 및 특수교사와 비장애 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특성 및 근무하는 장애통합어린이집의 보육현황은 총13문항, 통합보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1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장애 유형에 따른 통합교육이 장애 유아에게 주는 효과 7문항, 장애 유형에 따른 통합교육 태도 9문항, 장애 유형을 고려하지 않은 보육현장에서의 보육의 문제점 10문항, 장애 통합보육 지원요구 26문항, 장애 유형에 따른 통합보육 지원요구 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유아의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통합보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문항은 총 8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내용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장애통합 관련 전문가 2인의 자문을 거쳤다. 본 연구는 장애통합 어린이집에서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통합보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산출하였다. 연구 도구의 신뢰도 검사를 위하여 cronbach's ⍺ 계수를 산출하였다. 교사의 장애통합보육 인식수준을 확인하기 위해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장애통합보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지원 및 문제점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정, F 검정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아래의 다음과 같다. 첫째, 담당학급에서의 장애통합반의 연령은 만3세 반이 가장 많았으며, 유아반의 장애통합반의 편성이 높은 것으로 실시현황을 보이고 있다. 장애 유아의 장애 유형에서는 발달지체장애 유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폐성장애, 의사소통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조교사의 유모에서는 보조교사가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과정 중에 통합보육관련지침이 포함되어 있다는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대부분 보육과정 중에 통합보육관련지침에 따라 보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장애통합보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비장애 유아가 통합된 장애 유아 특유의 행동을 모방하는 것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인식하는 경우는 적게 나타났으나, 통합보육 시 비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장애 유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장애 유형에 따른 통합교육이 장애 유아에게 주는 효과에 대해 의사소통 장애 유아들은 일반 유아들과 통합되어 교육받는 것을 반대할 것이라고는 적게 인식하는 반면, 의사소통 장애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통합교육이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고 많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장애 유형을 고려하지 않은 보육현장에서의 보육 문제점은 통합보육 및 교육 관련 교사 연수 부족으로 인하여 교사의 자질을 발전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은 적으나, 중증 장애 유아 입소의 경우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아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장애통합보육 운영지원요구는 교사들은 장애통합보육 지원 요구로 독립된 놀이 공간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낮은 것에 비해 중증, 경증에 따른 지원 인력의 수가 달라야 한다는 요구는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교사들은 장애 유형에 따른 통합교육 지원요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으며, 장애 유형에 따라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의 인원수가 적절하게 구성·배치되어야 한다는 것에는 높은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장애통합보육의 배경
가. 장애통합보육의 개념
나. 장애통합보육의 원리
다. 장애유형

2. 장애통합보육의 중요성 및 미치는 영향
가. 장애통합보육의 중요성
나. 장애통합보육이 미치는 영향

3. 장애통합보육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
가. 교사의 자질
나. 장애통합보육제도 현황과 제도적 문제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가. 예비조사
나. 본 조사
4.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1. 장애 유형의 관점에서 바라본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보육현황
가.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보육현황
2. 장애통합보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통합보육의 태도와 장애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
가. 장애통합보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나.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통합보육의 태도와 장애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
3.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보육현장에서의 문제점 및 운영지원 요구
가.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보육현장에서의 문제점
나. 장애통합보육의 운영지원요구 및 장애 유형에 따른 지원요구
4. 배경 변인에 따른 장애통합보육에 대한 인식과 보육현장에서의 문제
점 및 운영지원 요구
가. 교사의 연령에 따른 차이·
나. 연령에 따른 장애 유형별 통합보육지원 요구 차이
다.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
라. 담당반 형태에 따른 차이
마. 장애통합보육 중인 입학유예 대상 유무에 따른 차이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및 결론
가. 장애 유형의 관점에서 바라본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보육현황
나. 장애통합보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통합보육의 태도와 장애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
다.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보육현장에서의 문제점 및 운영지원 요구
라. 배경 변인에 따른 장애통합보육에 대한 인식과 보육현장에서의 문제점 및 운영지원 요구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