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장애통합어린이집 만 3세 기쁨반 유아 일과에서 나타나는 또래교수 탐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 만 3세 기쁨반 장애통합학급의 자연스러운 일상맥락에서 나타나는 또래 교수 경험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또래 교수가 장애 유아-비장애 유아 간 또래관계 형성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선정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만 3세 장애통합학급인 기쁨반에서 나타난 유아의 또래 교수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만 3세 장애통합학급인 기쁨반에서의 또래 교수는 장애 유아-비 장애 유아 간 또래관계 형성에 있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A시에 있는 장애통합어린이집 만 3세 기쁨반 장애통합학급 유아 18명(장애 유아 3명 포함)을 연구대상으로 실행하였다. 연구자는 기쁨반 장애통합교사로서 장애통합환경에 장애 유아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을 고민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 중에 장애 유아-비장애 유아들의 일상맥락에 나타나는 또래 교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장애통합학급의 자연스러운 상황에 기반한 또래 교수 분석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만 3세 기쁨반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또래 교수 경험을 참여 관찰하였고, 이러한 또래 교수 경험이 또래관계 형성에 있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기간은 2019년 3월 4일부터 5월 17일까지이며, 만 3세 기쁨반 장애통합학급의 자연스러운 일상맥락에 대한 참여 관찰, 유아 면담, 교사 면담, 연구자 저널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전사본을 재탐독하면서 사례들의 전후 맥락, 이면 동기, 사례에 반영된 참여자들의 생각, 의견, 감정, 가치 등을 고려하여 재분류하였다. 분류된 사례들 속에 담긴 내용을 의미 있는 주제로 표현하고 이름을 붙이는 범주화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범주화된 의미들에 유의하여 전사본을 다시 읽으면서 그 의미가 타당한지, 내용에 따라 주제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야 하는지, 연구 문제와의 관련성 등을 재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순환적으로 반복하면서 자료를 재분류하고 통합, 재조직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쁨반 장애통합학급에서의 비장애 유아들의 또래 교수 경험은 장애 유아들에게 일상생활 규범 알려주기, 놀이 안내하기, 무시와 거부하기, 무조건 도와주기 등으로 나타났다. 장애 유아의 경우 또래 교수 과정에서 모델링을 통한 모방하기, 놀잇감 교환하기, 도움 청하기, 피하기 등의 경험이 이루어졌다. 둘째, 만 3세 기쁨반 장애통합학급에서의 또래 교수가 장애 유아-비장애 유아 간 또래관계 형성에 갖는 의미로는 상호 관심 갖기, 정서 공감하기, 장애특성 이해하기, 놀이의 재미와 즐거움 공유하기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즉, 또래 교수를 통하여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 간에 상호 관심과 정서를 공감하고 장애의 특성을 이해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또한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가 함께 놀이하는 경험 속에서 놀이가 주는 재미와 즐거움을 나누며 보다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얻은 본 연구는 장애통합환경에서 유능한 또래를 선정하여 일부 비장애 유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또래 교수 차원을 넘어,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 모두를 아우르는 학급 전체 유아들을 대상으로 또래 교수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여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8
3. 용어의 정의 8
가. 장애통합교육 8
나. 또래 교수 9
다. 장애 유아의 일과 참여 행동 9
라. 또래관계 10

Ⅱ. 이론적 배경 11
1. 장애통합교육 11
가. 장애통합교육의 개념 및 정의 11
나. 장애통합교육의 효과 12
다. 장애통합교육에서 장애 유아와 또래 상호작용의 중요성 15
2. 또래 교수 17
가. 만 3세 유아의 발달 특성 및 사회적 상호작용 17
나. 또래 교수의 개념 19
다. 또래 교수 방법 21
라. 또래 교수의 유형 23
3. 장애통합교육에서의 또래관계 25
가. 또래관계의 개념 및 중요성 25
나. 또래관계에서의 장애 유아 특성 26
다. 또래관계에서의 장애 유아의 사회적 기술 27
라.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와의 또래관계 29
마. 장애통합학급 또래관계에서의 교사 역할 30

Ⅲ. 연구방법 32
1. 연구 참여자 32
가. 참여 유아 32
나. 참여 유아의 또래 교수 훈련 42
다. 참여 교사 44
라. 연구자 45
2. 연구 환경 47
가. 장애통합어린이집 47
나. 기쁨반 48
다. 교실 환경 49
3. 자료 수집 50
가. 예비관찰 50
나. 참여 관찰 51
다. 심층 면담 52
라. 연구자 저널 53
4. 자료 분석 및 타당화 작업 54
가. 자료 분석 54
나. 타당도 55
5. 연구의 윤리성 5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57
1. 만 3세 기쁨반 장애통합학급에서 나타난 또래 교수 경험 57
가. 비장애 유아의 또래 교수 경험 57
나. 또래 교수를 통해 나타난 장애 유아의 경험 76
2. 만 3세 기쁨반 장애통합학급에서 또래 교수가 장애 유아-비장애 유아 간 또래관계 형성이 갖는 의미 85
가. 상호 관심 갖기 85
나. 정서 공감하기 88
다. 장애 유아의 특성 이해하기 91
라. 놀이의 재미와 즐거움 나누기 94

Ⅴ. 논의 및 결론 97
1. 논의 97
가. 만 3세 기쁨반 장애통합학급에서 나타난 또래 교수 경험 97
나. 만 3세 기쁨반 장애통합학급에서의 또래 교수가 장애 유아-비장애 유아간 또래관계 형성 갖는 의미 104
2. 결론 및 제언 108
가. 결론 108
나. 제언 109

참고 문헌 11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