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정의기억연대 실천활동가의 여성주의 인식전환경험

초록/요약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실천활동가 윤미향의 생애사를 통해서 본 여성주의 인식전환경험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윤미향이 많은 사회문제 중에서 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여성운동을 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윤미향의 실천적경험이 비판적 성찰의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뿐만 아니라 여성인 피해할머니들도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만든 원동력(empowerment)으로 작용한 여성주의 인식전환경험의 형성을 살펴보았다. 이에 정의기억연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윤미향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실천활동가로 활동하는 현장에 동행하면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여성주의 생애인식전환경험을 내러티브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미향의 어렸을 적 여성주의 인식전환경험은 자기주도 학습에 의해서였다. 책을 많이 접할 수 없는 시골환경 속에서 우연히 손에 들어 온 책 한 권은 그녀에게 변화의 시작을 알렸다. ‘여자도 목사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자신의 꿈이 되어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게 되었고 자녀의 꿈을 위한 부모님의 선택은 온 가족의 이사였다. 1970년대는 가부장제와 성차별로 딸들은 공부보다는 집에서 살림을 하거나 공장으로 향해야 했다. 또한 1980년대는 격동의 시대로 젊은 세대들이 현장에서 민주화를 부르짖으며 시대의 변화를 요구하던 시기이기도 했다. 윤미향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사회현상에 대해 질문을 품게 되었고, 주도적으로 사회문제에 대해 관심을 기울였다. 둘째, 윤미향의 여성주의 인식전환은 거리의 실천가로 현장에서 습득한 실천학습의 결과였다. 그녀는 말했다. “여성이고 가난했기에, 힘없는 여성이기에, 여성의 아픔을 알게 되고 공감하게 되었다.” 여자목사가 되기 위해 신학대학에 진학하였지만, 실천활동가로 활동하는 것이 자신이 해야 할 일이라는 걸 깨달았다. 그 후 윤미향은 기생관광 관련 현황 조사활동을 하던 중 최초 공개증언을 하는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여성 김학순할머니의 기자회견을 보게 된다. 이는 윤미향을 실천활동가로서 여성운동을 더욱 구체화 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분들은 피해자이지 죄인이 아니었다.’ 죄인처럼 살 수밖에 없었던 피해할머니들이 당당하게 자신들의 아픔을 말하고 가해자들에게 진심 어린 사과를 요구하며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윤미향은 진심을 다해 도왔다. 또한, 법정투쟁을 통해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에 대한 일본정부의 범죄사실을 만방에 알렸다. 윤미향과 피해할머니들은 실천활동을 통해 여성주의 인식전환경험을 하였고, 나아가 여성평화인권운동가로 성장하며 적극적 활동을 전개해 간다. 셋째, 윤미향과 피해할머니들은 여성평화인권운동가로 주체적인 삶을 살며 제3세계의 여성들과 초국적인 연대로 실천활동을 확장해 가는 여성운동의 활력을 보여주었다. 그뿐 아니라 미래 세대들에게 나와 같은 피해의 아픔을 너희는 겪지 말아야 한다는 피해할머니들의 다짐을 희망의 메시지로 전달하며, 올바른 역사의식을 갖춰 모두가 여성평화인권운동가들이 되기를 촉구한다. 제2, 제3의 김복동 여성평화인권운동가들이 되어 더불어 사는 사회, 실천하고 행동하는 사회를 만들고, 자신의 목소리를 당당하게 낼 수 있는 실천활동가들이 많이 나와야 한다는 의지를 표명한다. 본 연구는 한 실천활동가의 여성주의 인식전환이 자신뿐 아니라 일본군성노예 피해할머니와 그와 연계되었던 주변여성들까지 삶의 주체로 변모해 나갈 수 있도록 영향을 확대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성장의 궤적이기도 하다. 이 궤적을 따라가면서 실천적 경험학습을 통한 생애인식전환은 더 나은 삶으로 이끄는 평생교육의 의미와 상동하다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키워드: 정의기억연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실천활동가, 여성주의, 인식전환, 전환학습, 경험, 내러티브, 생애사

more

목차

Ⅰ. 서 론 1
1. 내러티브 시작: 연구자이야기 1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
3. 연구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1. 여성활동가 8
가. 여성활동가 8
나. 여성주의와 젠더 11
2. 실천적 경험에서의 전환학습 19
가. 인식전환경험 19
나. 실천적 전환학습경험 28
3. 여성평생교육 34

Ⅲ. 연구방법 44
1. 내러티브 탐구 45
2. 연구참여자 49
가. 연구참여자 선정 50
나. 정의기억연대 51
다. 연구참여자 소개 54
3.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 57
가. 심층면담 57
나. 참여관찰 58
다. 자료 분석과정 59
4.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 확보 60

Ⅳ. 실천활동을 통한 전환학습경험 62
1. 씨앗을 뿌린 농부처럼 63
가. 농부의 딸이다: 꽃과 시 63
나. 한 권의 책이다: 꿈이 변하니? 64
다. 그때는 말이다: 말하는 대로 65
라. 학창시절의 내 안의 작은 인식전환경험 68
2. 사람을 낚는 어부처럼 69
가. 만나지는: 신학과와 데모 69
나. 부딪히는: 나는야, 여성활동가! 75
다. 넓혀가는: 나를 찾아 세상 밖으로 89
라. 실천하는 인식전환경험 94
3. 함께하는 평화나비처럼 95
가. 평화인권운동가로 변신하다 95
나. 나 보다 더 아픈 나와 함께 걷다 104
다. 잊지 않고 기억하고 실천하다 107
라. 확산되는 인식전환경험 117

Ⅴ.논의 및 결론 120
1. 논의 120
2. 결론 123

참고문헌 127
부록 14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