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임부의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가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Maternal Identity in Pregnant Women.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임부의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가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A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진찰을 받고 있는 임부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9년 1월 30일부터 4월 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성정체성은 김혜원과 홍경자의 모성정체성 도구, 스트레스는 Cohen등의 Perceived Stress Scale, 우울은 Cox등의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사회적 지지는 Curry등의 Prenatal Psychosocial Profile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Mann-Whitny U검정, One-way ANOVA, Kruskal-wallis H검정과 상관관계와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부의 스트레스는 40점 만점에 14.59±5.56점, 우울은 30점 만점에 6.82±4.61점이었다. 사회적 지지는 132점 만점에 109.04±17.19점이었고, 하위 영역으로 배우자 지지 56.16±9.47점, 가족 및 친지의 지지 52.88±10.38점이었다. 모성정체성은 160점 만점에 131.15±15.38점이었다. 하위 영역으로 행위 요인62.82±10.02점, 정서 요인은 66.33±8.11점이었다. 2. 임부의 스트레스는 습관성 유산 (t=1.997, p=.048)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우울은 난임 시술 횟수 (χ2=6.322, p=.042)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분만력 (t=2.310, p=.023), 습관성 유산 (t=-2.469, p=.015)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모성정체성은 습관성 유산 (t=-2.538, p=.012), 난임 시술 횟수 (χ2=6.162, p=.046)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3. 임부의 모성정체성은 스트레스 (r=-.381, p<.001), 우울 (r=-.368,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 (r=.365,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임부의 모성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 (β =-.265, p=.005), 사회적지지 (β =.233, p=.014)이었고, 설명력은 17.3%로 나타났다 (F=14.186,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임부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임부의 긍정적인 모성정체성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was the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study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maternal identity in pregnant wom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7 pregnant women who had regular check-ups during pregnancy at a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0, 2019 to April 3, 2019. Maternal identity,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using Maternal identity scale, Perceived Stress Scal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and Prenatal Psychosocial Profile, respectively.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Mann-Whitny U 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maternal identity was 131.15 out of 160 points. As subcategories of maternal identity, the mean of behavior maternal identity and emotional maternal identity were 62.82 and 66.33 out of 80 points, respectively. The mean of stress was 14.59 out of 40 points and the mean of depression was 6.82 out of 30 points. The mean of social support was 131.15 out of 132 points. As subcategories of social support, the mean of partner support and other support were 56.16 and 52.88 out of 66 points, respectively. 2. The stress of the pregnant wom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abitual abortion (t=1.997, p=.048). The depression of pregnant wom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number of infertility treatment (χ2=6.322, p=.042). The social support of the pregnant wom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arity (t=2.310, p=.023) and habitual abortion (t=-2.469, p=.015). The maternal identity of the pregnant wom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abitual abortion (t=-2.538, p=.012) and number of infertility treatment (χ2=6.162, p=.046). 3. The maternal identity of the pregnant wome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ress (r=-.381, p<.001), depression (r=-.368, p<.001) and social support (r=.365, p<.001). 4.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aternal identi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tress (β=-.265, p=.005) and social support (β=.233, p=.014). Therefore, it could be explained that these variables affected 17.3% of the variance of maternal identity (F=14.186,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ursing intervention to promote maternal identity of pregnant women should focus reinforcing education and support for reducing stress and increasing social support.

more

목차

Ⅰ.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B. 연구 목적
C. 용어 정의
Ⅱ. 문헌고찰
A. 모성정체성
B. 모성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Ⅲ. 연구방법
A. 연구설계
B. 연구대상
C. 연구도구
D. 자료수집방법
E. 자료분석방법
F. 윤리적 고려
Ⅳ. 연구결과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B. 연구대상자의 임신관련 특성
C. 연구대상자의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및 모성정체성 정도
D.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신 관련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모성정체성
E. 연구대상자의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및 모성정체성 간 관계
F. 연구대상자의 모성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