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플라톤 『폴리테이아』의 평생교육적 의미 탐색

Study on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in Plato’s Politeia

초록/요약

본 논문은 오늘날 평생교육이 우리 삶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나타나는 사회전반의 교육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라톤의 『폴리테이아』를 통해 평생교육의 의미가 무엇인지, 그 본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오늘날 평생교육은 학습경제력, 인적 자원개발의 강조, 평생교육의 상품화와 기회 불평등의 심화 등으로 초기 평생교육의 모습을 상실했을 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끊임없는 변화에 따라 평생교육의 개혁적인 개념을 지속해서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연구자는 플라톤이 『폴리테이아』에서 제시한 교육사상이 평생교육과 같이 현실진단에 뿌리를 둔 개혁적 교육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데 주목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플라톤의 『폴리테이아』에 나타난 교육의 본질과 통찰력을 통해 평생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 평생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혜안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무엇보다 플라톤의 철학사상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플라톤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생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플라톤이 제시한 파이데이아의 사상적 기조와 변천 과정, 그리고 교육체계 및 방법을 탐색해 본 결과, 평생교육과 그 지향점이 같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플라톤 철학사상의 다양한 교육적 논쟁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이유를 해석학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오늘날 『폴리테이아』에 대한 다양한 재해석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지는 Ⅲ장에서는 『폴리테이아』에 나타난 교육사상을 올바름(정의), 아레테(덕), 철인과 이상국가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플라톤의 교육은 자신의 존재(영혼)를 알아가는 자기 인식(앎)의 과정이며, 끊임없는 배움의 길이며 이를 통해 영혼의 조화가 행복으로 나갈 수 있는 올바름을 향한 교육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간의 삶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기술이 아니라 습관과 훈련을 통해 영혼의 기능으로서의 아레테를 배우고 획득해 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배움을 사랑하고 타인을 위해 가르침을 실천하는 철인의 모습과 최대의 행복을 이루는 이상국가를 통해 올바른 시민들을 키우는 교육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폴리테이아』의 교육사상을 토대로 Ⅳ장에서는 평생교육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탐색하였다. 영혼의 앎은 도구적인 지식이 아니라 지식을 넘어서는 진정한 앎이어야 한다. 내재화된 가치로서의 진정한 앎을 추구할 때 우리의 평생교육은 단순히 제도적, 여가 또는 직업적인 기초교육의 형태를 벗어나 영혼에 대한 기초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오늘날 학습배제, 학습 소외의 딜레마는 지속적인 사유와 성찰을 통해 그들의 경험을 삶과 밀접하게 접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올바른 행함은 직업적 행위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내부의 능력을 전향함으로써 얻는 실천적 행함이어야 한다. 유용성과 실용성에 근거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가치에 근거한 본질적인 아레테를 계발하는 것이고, 생존 기술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가진 능력을 올바르게 볼 수 있도록 전향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영혼이 조화로운 삶, 윤리적인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조화로운 상생은 절제를 통한 자기 인식과 영혼의 주인이 되는 것이고, 철인과 같이 가르침과 배움을 실천하는 모습을 통해 타인을 이해할 수 있으며 모두가 최대한 공감 상태를 이루어 공동체의 공동 목표와 목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변증법적 존재는 선의 이데아를 향해 끊임없이 되어가는 주체적 존재로, 개인과 공동체가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공공의 선을 실현할 수 있다. 존재에 대한 끊임없는 변증법적 탐구는 경험을 통해 의견을 앎으로 끌어올리며 개인과 사회로 확장될 수 있다. 플라톤의 『폴리테이아』에서 본 평생교육의 의미는 앎, 행함, 상생이 변증법적인 방법을 통해 존재(본질)로 나아가는 것이다. 결국 플라톤이 제시한 폴리테이아(정체)는 이데아로서의 학습사회를 의미한다. 궁극적으로 학습사회의 목적은 개인과 공동체에 올바름의 폴리테이아(정체)을 확립하는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문제 제기 2
2. 연구 목적 9
3. 연구 방법 10
4. 연구 내용 16

Ⅱ. 플라톤의 철학사상 23
1. 플라톤의 사상적 배경과 생애 23
2. 플라톤의 파이데이아(Paideia) 29
가. 플라톤의 사상적 기조(基調) 30
나. 이상국가의 교육체계와 내용 35
다. 플라톤의 교수-학습방법 42
3. 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플라톤『폴리테이아』 46
가. 플라톤 철학의 해석학적 관점 46
나. 『폴리테이아』의 형식적 요소 52
다. 『폴리테이아』의 비판적 고찰 57

Ⅲ. 『폴리테이아』에 나타난 교육사상 62
1. 올바름을 향한 교육 63
가. 올바름을 향한 변증법적 접근 64
나. 영혼의 조화로움, 행복 69
다. 선의 이데아로의 전향 81
라. 모두의 행복을 위한 교육 92
2. 삶의 기능으로서의 아레테 98
가. 삶의 탁월함, 아레테 99
나. 소피스트와 테크네 109
다. 아레테에 이르는 길 116
라. 천성과 교육사이의 균형 추구 125
3. 철인과 이상국가 128
가. 큰 글자와 작은 글자의 비유 129
나. 배움을 사랑하는 실천자, 철인 134
다. 철인을 키우는 이상국가 140
라. 계급사회와 교육의 분배 144

Ⅳ. 『폴리테이아』의 평생교육적 의미 탐색 151
1. 지식을 넘어서는 ‘영혼의 앎’ 152
가. 앎의 내재적 가치 153
나. 영혼의 아레테를 위한 기초교육 159
다. 앎에 대한 의지와 삶의 경험 163
2. 전향에서 오는 ‘올바른 행함’ 167
가. 앎에서 나오는 실천적 행함 169
나. 전향으로 깨우는 행함 172
다. 영혼에 따르는 올바른 행함 177
3. 절제를 통한 ‘조화로운 상생’ 182
가. 절제를 통한 자기 인식과 영혼의 돌봄 183
나. 타인의 발견을 위한 가르침과 배움 188
다. 공유를 통한 최대의 행복 196
4. 끊임없이 생성하는 ‘법증법적 존재’ 200
가. 주체적 존재로서의 자아실현 201
나. 사회적 존재로서의 공공의 선(善) 210
다. 경험을 통한 변증법적인 성장 216
5. 폴리테이아: 평생교육적 이데아로서의 학습사회 221
가. 이상국가의 폴리테이아(政體) 223
나. 평생교육의 유토피아, 학습사회 228
다. 폴리테이아, 이데아로서의 학습사회 232

Ⅴ. 요약 및 결론 245
1. 요약 245
2. 결론 249

참고문헌 258
Abstract 28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