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마음챙김리더십 개념화와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ceptualization and Scale Development of Mindful Leadership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일과 삶의 균형, 성취와 행복, 자율성과 창의성 등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적 가치와 조직문화 그리고 조직구성원들의 특성에 적합한 새로운 리더십에 대한 대안의 하나로 마음챙김리더십을 개념화하고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음챙김과 조직 맥락에서의 마음챙김을 고찰하고 리더십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마음챙김리더십을 ‘리더가 마음챙김에 기반하여 자기를 알아차리고 업무를 수행하며 조직구성원들의 마음챙김을 촉진하는 프로세스’로 정의하였다. 예비연구를 거쳐 마음챙김리더십을 측정할 수 있는 30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수렴타당도, 예측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2018년 1월 8일부터 30일까지 직속상사가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83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수렴타당도, 예측타당도 검증을 위해 직속상사가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5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8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수렴타당도, 예측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마음챙김리더십은 리더자기알아차림(self-awareness of leader, SAL), 마음챙김업무행동(mindful work behavior, MWB), 조직마음챙김촉진(facilitation of organizational mindfulness, FOM)의 3 요인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총 설명량은 73.27%이고 신뢰도는 마음챙김리더십 .95, 리더자기알아차림은 .92, 마음챙김업무행동은 .93, 조직마음챙김촉진은 .94로 나타났다. 또한, 마음챙김리더십은 3요인 모형이 적합했고((GFI=.90, CFI=.96, NFI=.94, TLI=.95, RMSEA=.08), 신뢰성과 타당성, 집중판별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수렴타당도는 유사한 개념인 변혁적리더십, 진정성리더십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3 요인과 1 요인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마음챙김리더십은 변혁적리더십과 r=.85(p<.001)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마음챙김리더십의 하위요인들과 변혁적리더십의 하위요인들은 .61 ~ .86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마음챙김리더십은 진정성리더십과 r=.86(p<.001)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마음챙김리더십의 하위요인들과 진정성리더십의 하위요인들은 .61 ~ .86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마음챙김리더십, 변혁적리더십, 진정성리더십을 하나의 잠재변인으로 구성한 1 요인 모형보다 3 개의 잠재변인으로 구성한 3 요인 모형이 더 적합했다. 마지막으로 예측타당도 검증을 위해 마음챙김리더십이 부하직원의 리더신뢰, 조직몰입,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음챙김리더십은 리더신뢰에 β=.88(p<.001), 조직몰입에 β=.72(p<.001), 심리적안녕감에 β=.59(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음챙김리더십이 리더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변혁적리더십을 통제한 후에도, 리더신뢰에 β=.50(p<.001)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변혁적리더십만 투입한 경우에 비해 설명량은 7% 증가했다. 또한 마음챙김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변혁적리더십을 통제한 후에도, 조직몰입에 β=.36(p<.001)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변혁적리더십만 투입한 경우에 비해 설명량이 4%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변화하는 사회적 가치와 조직구성원들의 요구에 보다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리더십의 하나로 세계 최초로 마음챙김리더십을 정의한 후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마음챙김리더십 연구의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시사점이 있다. 또한 조직에서 마음챙김이 활용될 때, 조직구성원의 스트레스 완화뿐만 아니라 리더십 역량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and develope measurement of mindful leadership as an alternative for a new leadership suitable for the new needs of organization member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at emphasizes the work and life balance, achievement and happiness. The definition of mindful leadership is the process in which a leader aware of himself/herself and performs tasks based on mindfulness and facilitate of mindfulnes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data of 183 salary men were that mindful leadership had three factors such as the self-awareness of leader(SAL), the mindful work behavior(MWB), the facilitation of organizational mindfulness(FOM), and 15 items.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73.27%, and reliability was .95 for mindful leadership, .92 for the self-awareness of leader, .93 for the mindfulness work behavior, and .94 for the facilitation of organizational mindfulness.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287 salary men in the second survey are as follows. The three factor model was suitable with GFI=.90, CFI=.94, TLI=.95, and RMSEA=.08.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tion validity were verified. In the convergence validity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uthentic leadership, it was not verified. In predictive validity, mindfulness leadership have β=.88(p<.001) for leader trust, β=.72(p<.001)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β=.59(p<.001) for psychological well-being. For leader trust, wh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mindful leadership were put at the same time, mindful leadership had β=.50(p<.001) for leader trust. The explanatory power is a 7% increase from when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input.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mindful leadership were put at the same time, mindful leadership had β=.36(p<.001) for leader trust. The explanatory power is a 4% increase from when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inpu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mindful leadership was conceptualized and developed its scale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nd to suggest the standard factors of mindful leadership when it is applied to an organization. In the future research, mindful leadership has to be verified the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mindfulness, team mindfulness, organizational mindfulness and other organizational variables.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논문구성 5
Ⅱ. 이론적 배경 7
1. 마음챙김 7
가. 마음챙김의 일반적 정의 7
나. 조직에서의 마음챙김 24
2. 리더십 34
가. 리더십 정의 34
나. 변혁적리더십 36
다. 진정성리더십 38
3. 마음챙김리더십 개념화 40
가. 리더의 마음챙김과 리더십 40
나. 마음챙김리더십의 정의 41
다. 마음챙김리더십의 하위요인 46
라. 마음챙김리더십, 변혁적리더십, 진정성리더십 비교 48
마. 마음챙김리더십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 52
Ⅲ. 연구방법 65
1. 연구절차 65
2. 예비문항 개발 66
3. 연구대상 72
4. 조사도구 72
5. 자료수집 74
6. 자료분석 74
Ⅳ. 연구결과 76
1. 탐색적 요인분석 76
가. 연구대상자 76
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78
2. 확인적 요인분석 81
가. 연구대상자 81
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83
다. 최종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8
3. 수렴타당도 89
4. 예측타당도 95
Ⅴ. 논의 및 결론 100
1. 논의 100
2. 결론 111
3. 제언 115
참고문헌 118
부록 136
Abstract 14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