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운전자 근로여건을 고려한 버스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Bus Traffic Accident Models Considering Driver’s Working Conditions

초록/요약

인적요인은 도로환경요인이나 차량요인에 비해서 교통사고에 가장 큰 기여를 하므로 운전자의 안전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노선버스와 같은 사업용자동차는 대중교통으로서 많은 승객이 이용하고, 하루 종일 운행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에 대한 책임과 위험이 동시에 따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로시간을 포함한 운전자의 근로여건이 인적요인으로서 버스 교통사고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음이항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안전성능함수를 개발하고 교통사고를 예측하였다. 최종 안전성능함수는 보유대수를 노출변수로 하였고, 대당운전자수와 월급여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설명력이 부족했지만 근무형태와 월근로시간도 대당운전자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어느 정도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교통사고 예측모형으로 구축된 안전성능함수를 이용하여 버스회사별 안전등급을 4단계(A∼D등급)로 평가하였다. 안전등급이 D로 나빠질수록 사고건수 평균과 표준편차도 증가하였다. 또한 준공영제와 민영제 간 안전등급의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준공영제에서는 A∼B등급이, 민영제에서는 D등급 버스회사의 비중이 높았다. 경기도 시내버스의 서비스평가 점수를 본 연구의 해당 버스회사에 적용한 결과, 버스회사의 안전등급이 서비스평가 점수와 연동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행기록분석시스템 내 ‘100km당 위험행동건수’를 준공영제(서울시)와 민영제(경기도)의 안전등급에 적용한 결과, 두 지자체 모두 등급이 나쁠수록 위험행동건수가 많아졌지만, 등급별 위험행동건수는 경기도가 많았다. 위험수준은 서울시가 대체로 보통 또는 양호한 반면, 경기도는 주의나 위험인 버스회사가 많았다. 연구를 수행하면서 아쉬웠던 점은, 전국 버스회사의 운전자 근로여건을 포함한 현황이 DB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조사에 어려움을 겪었고, 운행기록계의 위험운전행동, 연속휴게시간 등 활용하지 못한 변수도 있었다. 향후 택시와 화물업종에서도 근로여건 변화에 따른 교통사고를 예측할 수 있고, 다른 산업에서도 근로여건에 따른 성과모형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2
제2절 연구의 범위 3
제3절 연구의 수행절차 및 방법 4

제2장 관련 이론 및 연구 고찰 5
제1절 버스 교통안전 관련 정책 5
1. 교통수단안전점검 5
2. 교통안전관리규정의 작성 및 이행 6
3. 교통안전 우수사업자 지정 6
제2절 관련 이론 고찰 7
1. 교통사고 예측모형 7
2. 안전성능함수 11
제3절 기존 연구 고찰 14
1. 교통사고 예측모형 관련 연구 14
2. 안전성능함수 관련 연구 17
3. 운수회사 안전관리 관련 연구 22
제4절 시사점 및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28


제3장 운전자 근로여건 현황 및 버스 교통사고 분석 30
제1절 분석의 대상 30
제2절 자료 수집 및 분석 개요 31
제3절 버스 운전자 근로실태 32
1. 버스 운전자 수급현황 32
2. 근무형태 32
3. 월급여 34
4. 근로시간 35
제4절 버스 교통사고 특성 분석 36
1. 버스 교통사고 추세 36
2. 업종별 버스 교통사고 36
3. 준공영제 및 민영제 시내버스 교통사고 40
제5절 운전자 근로여건 현황 및 버스 교통사고 분석 소결 43

제4장 버스 교통사고 예측모형 및 버스회사 안전등급 평가 방법 개발 44
제1절 분석범위 및 변수선정 44
1. 분석범위 44
2. 변수선정 45
3. 분석 테이블 구축 46
4. 변수 통계분석 47
제2절 버스 교통사고 예측모형 분석 방법론 설정 50
제3절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52
1. Type별 안전성능함수 52
2. 모형분석 결과 53
3. 음이항 회귀분석 선정 56
4. 음이항 회귀분석 축소 57
5. 최종 안전성능함수 구축 59
제4절 모형 검증 60
제5절 버스회사 안전등급 평가 64
1. 안전등급 평가 개요 64
2. 평가 방법론 64
3. 안전등급 계수산정 66
4. 버스회사 안전등급 평가 68
5. 준공영제 및 민영제 안전등급 평가 70
6. 민영제 중 경기도 시내버스 서비스평가와 비교 74
7. 준공영제와 민영제의 운행기록분석시스템 분석결과 비교 76
8. 소결 78

제5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79
제1절 연구결과 79
제2절 연구결과 활용방안 80
1. 안전성능함수와 안전등급의 버스운영체계 적용 80
2. 민영제 근로여건 개선을 가정한 사고예측 83
제3절 연구결과를 활용한 버스안전정책 84
1. 안전성능함수 및 안전등급 결과 적용 대책 85
2. 민영제 D등급 버스회사의 교통사고 특성 적용 대책 88
3. 민영제 교통사고 특별관리대책 91
4. 기존 버스안전정책 개선방안 94
제4절 향후 연구과제 9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