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어부사시사> 교육 개선 방안 연구

초록/요약

문학은 작자의 의식세계와 시대상을 반영하기에 우리는 문학교육을 통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공동체에 대한 이해와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역사와 철학의 의미를 포함하는 고전 문학은 문화 원리를 바탕으로 교육되어야 하기에,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합하다. 하지만 기존 고전문학교육은 이러한 문화 원리를 배제하여 작품의 문화적 함의를 제대로 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고는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를 기본 텍스트로 삼아 현 교육 내용의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어부사시사>는 문학사적 위상도 높을뿐더러, 당대 지배계급이자 문학 향유층인 사대부의 문화적 함의를 잘 담고 있기에 논의의 대상으로 충분한 자격이 있다. 본고의 연구 대상은 <어부사시사>와, 2009 개정시기 문학교과서 일체로, 2009년 12월에 고시된 문학교과서 14종과 2011년 8월에 고시된 문학교과서 11종이 그에 해당한다. 우선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어부사시사>의 교육 양상과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작품 교육 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작업으로 ①전체적 활용빈도, ②활용방식, ③성취기준을 기준으로 교과서 수록 양상과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작품의 교육 내용은 크게 어부의 사계절과 생활상을 묻는 활동①, 형식과 운율을 파악하는 활동②, 작품 창작 배경을 묻는 활동③, 작품 수용을 통한 생산으로 창작 활동④, 시적화자의 정서 및 태도를 묻는 활동⑤로 분류된다. 이를 통한 <어부사시사> 교육의 문제점으로, 첫째 입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어부 형상이 자연 친화로 평면화되었으며 둘째, 학계에서 작품의 갈래 문제가 여러 층위로 논의되는 만큼 그 갈래적 속성을 다양하게 논의할 수 있는데 이를 단순화하여, 시조적 측면만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논한다. 우선 첫째로 실제 <어부사시사>에 드러나는 다양한 어부 형상을 짚고, 특히 어부의 ‘인세에 대한 피로감’과 ‘정치 참여 욕구’라는 상반된 의식에 대해 작자의 전기적 사실과 작품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둘째로 <어부사시사> 창작에 영향을 미친 <악장어부가>와 <농암어부가>를 제시하여 윤선도의 <어부사시사>가 어떤 점에서 <악장어부가>와 <농암어부가>를 계승하는지 밝혔다. 또한 본고는 어부 인물 형상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어부가 계열 작품으로서의 연속성을 이해하는 것이 기존 <어부사시사>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실질적인 개선 방안이 될 수 있음을 기대하며 이를 적용한 학습활동을 각각 구상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사 5
3. 연구 대상 및 방법 10

Ⅱ. 교과서를 통해 살펴본 <어부사시사> 교육 양상과 문제점 14
1. <어부사시사>의 교육 양상 14
1.1 교과서 수록 양상 14
1.2 교육 내용 분석 20
2. <어부사시사> 교육의 문제점 25
2.1 어부 형상의 평면화 25
2.2 갈래적 속성의 단순화 32

Ⅲ. <어부사시사> 교육내용의 개선 방안 37
3.1 어부 형상에 대한 심층적 이해 37
3.2 어부가 계열 작품으로서의 연속성 이해 49

Ⅳ. 결론 61
참고문헌 6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