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외상 상담 경험과 공감이 대리외상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정서적·태도적 공감의 차별적 효과

The Effects of Trauma Counseling Experience and Empathy on Vicarious Trauma: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ognitive, Affective, and Attitudinal Empathy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공감의 하위 요인인 인지적 공감, 태도적 공감, 정서적 공감이 대리외상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상 상담 경험이 있는 상담자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인지적 공감, 태도적 공감, 정서적 공감, 대리외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공감은 대리외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공감은 대리외상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정서적 공감을 많이 하는 상담자는 대리외상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태도적 공감은 대리외상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태도적 공감을 많이 하는 상담자는 대리외상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이후 추가적으로 군집분석을 통해 공감 하위유형 조합에 따른 대리외상 점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 공감이 높은 집단에서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대리외상 점수가 높게 나타나 본 연구 가설을 반복적으로 지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상담자 교육에서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more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5
1. 공감 5
1) 공감의 개념 5
2. 대리외상 8
1) 대리외상의 개념 8
2) 공감과 대리외상 9

III. 연구 목적 및 가설 13
1. 연구 목적 13
2. 연구 문제 및 가설 14
3. 연구 모형 15

IV. 연구 방법 16
1. 연구 대상 16
2. 측정 도구 19
1) 외상 상담 경험 질문지 19
2) 공감 척도 19
3) 대리외상 척도 20
3. 분석 방법 20

V. 연구 결과 22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22
2. 인지적·정서적·태도적 공감이 대리외상에 미치는 영향 22
3. 공감 유형 조합에 따른 하위군집 별 대리외상 점수의 차이 24

VI. 논의 27

■ 참고문헌 31
■ 부록 43
■ ABSTRACT 5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