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구직효능감의 매개 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밝히고자 하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구직효능감, 취업스트레스의 관계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구직효능감이 매개하는가? 셋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부모지지, 교수지지, 친구지지와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이 매개하는가?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3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척도, 구직효능감 척도, 취업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취업스트레스, 구직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 취업스트레스, 구직효능감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와 취업스트레스는 부적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직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 또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사회적 지지와 구직효능감과는 정적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직효능감이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지지와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완전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이 지각한 교수 지지와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부분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이 지각한 친구 지지와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완전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취업스트레스를 느끼는 대학생에게 사회적 지지원의 영향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구직효능감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발견함으로써 취업스트레스로 심리적, 신체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각 대학의 상담센터 및 취업지원센터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지지원을 통해 취업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상담적 개입을 통해 지속적인 조언과 상담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을 높이고 동시에 취업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취업스트레스 7
2. 사회적 지지 13
3. 구직효능감 17
4. 각 변인들의 관계 22

Ⅲ. 연구방법 28
1. 연구대상 및 조사 방법 28
2. 측정 도구 29
3. 자료 분석 방법 33

Ⅳ. 연구결과 34
1. 사회적 지지, 취업스트레스, 구직효능감의 기술통계 34
2. 사회적 지지와 취업스트레스 및 구직효능감의 관계 35
3. 사회적 지지와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 37
4.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
39

Ⅴ. 논의 및 결론 49
1. 요약 및 논의 49
2. 결론 및 제언 52

참고 문헌 56
부록 7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