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민요를 활용한 실용무용치료가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효과 : 인지기능과 우울을 중심으로

Effects of Practical Dance Therapy Using Folk Songs on the Elderly with Dementia : Focus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초록/요약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국내 치매의 유병율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치매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 원인으로 인해 손상되며 나타나는 노년기의 대표적인 정신질환으로 대표적인 유병특징은 인지기능저하이다. 또한 우울은 치매의 주요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치매는 위험요인들을 적절이 관리하면 예방 및 진전속도를 늦추는 것이 가능한 질병이다. 현재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보완과 우울의 완화를 위한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두 개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병합하여 다차원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추세이다. 이중에서도 특히 춤과 관련된 치료는 음악과 더불어 신체활동을 병합하기 때문에 복합적으로 연관되어있는 치매노인의 인지, 정서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실용무용은 순수무용을 제외한 춤으로,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무용치료에 적용되는 춤동작의 표현이나 그 방식에 차별성을 갖는다. 실용적이라는 사전적 의미와 같이, 더욱 대중적이며 접근성이 용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인지훈련과 병합하여 민요 음악을 활용하는 것은, 춤을 접해보지 않은 치매노인에게 접근이 용이하며, 인지와 우울에 효과적인 중재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용무용의 신체·정서적 강점과 인지치료를 병합한 실용무용치료(Practical dance therapy)를 개발하였다. 이를 기억회상에 효과적인 민요 음악을 활용함으로써,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실용무용치료의 중점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의 요소는 치매노인에게 친숙하며 기억회상에 효과적인 민요를 활용한다. 둘째, 인지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를 활용하여 인지활동을 구성한다. 셋째, 실용무용치료의 안무구성은 소근육 동작을 기초로 하며, 치매예방체조 패턴을 안무화 하여 실용무용으로 재구성한다. 연구를 위해 노인요양기관의 치매노인 27명을 조사대상자로 삼았다. 사전인지점수를 기준으로 고기능과 저기능, 총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각 8회기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단일 집단 사전·사후설계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인지기능은 K-MMSE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우울은 SGDS-K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를 비모수 검정의 방법인 Wilcoxon 부호순위검정을 활용하여 인지와 우울점수의 사전·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민요를 활용한 실용무용치료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용무용치료에 참여함으로써 인지기능이 향상되고 우울이 감소되었으며, 이는 고기능, 저기능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실용무용을 치료적 전략으로써 제안하는데 그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에는 실용무용치료의 이론적 기초와 기법들의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실용무용의 테크닉이나 음악장르선정 등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일개 노인요양기관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음으로, 다양한 기관과 대상을 통한 확대가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e prevalence rate of domestic dementia is also increasing with the transition to an aging society. Dementia is a typical mental disorder of the old age that normally occurs when mature brain is damaged due to acquired causes. And depression is known as a major risk factor for dementia, and dementia is a disease that can prevent and slow the progression if risk factors are properly managed. Recently, it is a tendency to attempt multidimensional approach by merging two or more programs. In particular, dance-related therapies have the potential to positively affect the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demented elderly, which are related to the dementia because they incorporate physical activity with music. Practical dance is dancing except classic dance. If you examine it in detail, it has differentiation in expression of dancing motion applied to dance therapy or its method. It is more popular and easy to access, just like the dictionary meaning of practicality. The use of folk music in combination with cognitive training facilitates access to the demented elderly who do not experience dancing, and plays an effective mediating role in cognition and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actical dance therapy combining physical and emotional strength of practical dance with cognitive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lk music that is effective for memory recall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demented elderly. The main contents of practical dance therapy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 of music utilizes folk songs familiar to demented elderly people and effective for memory recall. Second, cognitive activities are constructed by using components of the cognitive therapy program. Third, the composition of choreography for practical dance therapy is based on small motility movement, and the dementia prevention gymnastic pattern is choreographed into practical dance. For the study, 27 elderly demented elderly in the elderly care institution were included in the study. Based on the pre - cognitive scores, the program was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function and low function. K-MMSE scale was used for cognitive function and SGDS-K scale was used for depression. We used the Wilcoxon sign rank test, a method of nonparametric test, to analyze the cognitive and depression scores. As a result of the study, practical dance therapy using folk song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demented elderly. In other words, participation in practical dance therapy improved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which was significant in both high and low functional group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suggest practical dance as a therapeutic strateg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bases and techniques of practical dance therapy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And diversity of practical dance technique and music genre selection are necessary.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of one elderly care institution,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rough various institutions and subjects.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목적 4

제2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치매의 특성 5
1. 치매의 정의와 실태 5
2. 치매와 인지기능 8
3. 치매와 우울 10
제2절 인지훈련 12
제3절 음악치료 13
제4절 실용무용치료 15
1. 무용·동작을 활용한 치료 15
2. 실용무용치료 17

제3장 연구방법 20
제1절 연구가설 20
제2절 연구방법 20
제3절 조사도구 23
1. K-MMSE 23
2. SGDS-K 24

제4장 연구결과 25
제1절 실용무용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및 진행 25
1. 프로그램의 개발 25
2. 프로그램의 회기별 구성 27
3. 프로그램의 진행방법 32
제2절 실용무용치료의 효과성 검증 34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4
2) 실용무용치료가 고기능 집단에 미치는 영향 36
(1)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36
(2) 우울에 미치는 영향 37
3) 실용무용치료가 저기능 집단에 미치는 영향 38
(1)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38
(2) 우울에 미치는 영향 39

제5장 결론 및 제언 40
제1절 연구결과 요약 40
제2절 논의 및 제언 41

참고문헌 44
부록1. K-MMSE 척도 51
부록2. SGDS-K 척도 52
부록3. 실용무용치료 적용안 53
ABSTRACT. 6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