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소재 분석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 과정 아래에서 집필된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13종 중 무작위 5종을 선정하여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19개 소재 목록을 적절하게 반영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19개 소재 항목이 영어 교과서에서 일부 소재 항목에 치우치지 않고 나선형 조직으로 한 번 이상 등장하는 것을 적합성의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교과서의 소재 항목별 빈도수를 분석하여 반영 결과를 조사하였으며 교과서 별로 각 단원에서 어떻게 소재 항목을 반영하였는지 세부적으로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5종에서는 3번(학교생활과 교우 관계에 관한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다. 둘 째, 7번(영어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에 관한 내용), 17번 항목(애국심, 평화, 안보 및 통일에 관한 내용)은 5종의 교과서 전체에서 등장하지 못하였으며 9번(우리 문화와 다른 문화의 언어적, 문화적 차이에 관한 내용), 14번(인구 문제, 청소년 문제, 고령화, 다문화 사회, 정보 통신 윤리 등 변화하는 사회에 관한 내용), 19번(인문학, 사회 과학, 자연 과학, 예술 분야의 학문적 소양을 기를 수 있는 내용) 항목도 5종 중 오직 1종에서만 다루어졌다. 셋 째, A, B 교과서를 제외한 나머지 교과서 3종은 거의 하나의 단원에서 하나의 소재 항목만을 제시하였다. 넷 째, 5종의 교과서는 3~6개의 소재 항목만을 나선형 조직으로 제시하고 대부분의 소재 항목들은 단발성 학습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 째, 소재 항목을 고르게 반영해야 한다. 둘 째, 한 단원에서 여러 소재 항목들을 결합하여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셋 째, 나선형 조직으로 제시하는 소재의 개수를 늘려야 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문제 5
1.3.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2.1. 소재 6
2.1.1. 소재의 정의와 중요성 6
2.1.2. Finocchiaro와 Brumfit(1983)의 소재 목록 7
2.1.3. van Ek(1975)의 소재 목록 18
2.2.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소재 목록 23
2.3.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소재 목록 변화 28
2.4. 나선형 조직 32
2.5. 선행 연구 33

Ⅲ. 연구 방법 40
3.1. 연구 대상 40
3.2. 연구 방법 41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42
4.1. 소재 항목별 반영 결과 42
4.2. 교과서별 소재 분석 46
4.2.1. A 교과서 46
4.2.1.1 A 교과서의 단원별 소재 항목 46
4.2.1.2 A 교과서의 단원별 소재 내용 48
4.2.2. B 교과서 52
4.2.2.1 B 교과서의 단원별 소재 항목 52
4.2.2.2 B 교과서의 단원별 소재 내용 54
4.2.3. C 교과서 59
4.2.3.1 C 교과서의 단원별 소재 항목 59
4.2.3.2 C 교과서의 단원별 소재 내용 61
4.2.4. D 교과서 66
4.2.4.1 D 교과서의 단원별 소재 항목 66
4.2.4.2 D 교과서의 단원별 소재 내용 68
4.2.5. E 교과서 72
4.2.5.1 E 교과서의 단원별 소재 항목 72
4.2.5.1 E 교과서의 단원별 소재 내용 74

Ⅴ. 결론 및 제언 78
5.1. 결론 및 제언 78

참고문헌 85

more